논문 상세보기

새만금 기본계획에 따른 녹화공간의 과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1 KCI 등재

A Study on the Tasks and Improvements for Green Spaces according to the Saemangeum Master Pla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994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500원
휴양및경관연구 (Journal of Recreation and Landscape)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Institute of Recreation and Landscape Planning)
초록

본 연구는 새만금 기본계획 중 녹화공간 계획 및 계획변화를 분석하고, 현재 진행 중인 사업에서 발생하는 녹화공간의 문제와 과제를 정리함으로서 개선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새만금 기본계획에 나타난 녹화공간의 문제로, 공원녹지는 사업 대상지별 확보에 의해 거점공원의 조성 및 연속적 녹지대 조성의 어려움이, 방재림은 연접한 기반시설과 일체성이 확보되지 못해 초래된 사업비 증대 및 그 사업비의 미확보가, 환경생태용지는 높은 비매립율과 수상태양광 설치로 녹화시기의 장기화가 대두되었다. 진행 중인 사업에 나타난 녹화공간의 문제는, 동서·남북도로는 바다준설토로 매립되고 방수제 역할을 함으로 인한 녹지형성의 어려움, 새만금산업단지는 지속적인 공원녹지율 감소, 수변도시는 단지내 공원녹지율 20%에 방재림이 포함됨으로 인한 녹화면적의 감소 등이다. 이러한 문제로부터 새만금녹화를 위한 개선방안으로, 첫째, 거점공원 확충을 위해서는 도시지역권·광역권 근린공원을 새만금 기본계획 및 예산에 반영할 것을, 둘째, 녹지는 토지이용계획과 정합성을 도모한 확대를, 셋째, 방재림의 빠른 조성을 위해서는 인접지 수상태양광 발전단지 조성 시 발생하는 준설토와 발전수익의 활용을, 넷째, 타 용도로 활용이 계획되어 있는 환경생태용지는 그 위치와 기능의 조정을, 마지 막으로 다양한 사업의 공원녹지를 총괄할 도시공간조성과의 신설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green space plans and their changes in the Saemangeum master plan and to organize the problems and challenges of the ongoing project to find ways for green space improvements. The Saemangeum master plan for green spaces is hard to secure the area for a base park and continuous green spaces due to the business site development, the increasing and insufficient costs for the disaster prevention forests that are not integrated with the infrastructure, the high rate of non-landing in eco-environment areas, and the prolonged afforestation by the installation of floating solar power. The ongoing project problems for green spaces are the difficulties of green space formation in the East-West and South-North roads by sea dredge and waterproof, the continuous reduction of park green area rates in Saemangeum industrial complex, and decrease in green area in waterfront cities with inclusion of disaster prevention forests in their park green area ratio 20%. Suggestions for Saemangeum afforestation by these issues are the followings. First, in order to expand the base park, neighborhood parks in urban areas and metropolitan areas should be reflected in the Saemangeum master plan and the budget. Second, green areas should be expanded by promoting compatibility with land use plan. Third, the dredged soils from water solar power plants and the profits from power generation should be utilized for the urgent creation of disaster prevention forests. Fourth, environmental ecological sites planned to be used for other purposes should be adjusted in their location and function. In addition, a new department being in charge of various projects for the park green areas is proposed.

목차
ABSTRACT
국문초록
1. 서론
2. 이론적 고찰
    2.1 네델란드의 알메르(Almere)의 녹화공간 계획
    2.2 우리나라 대표적인 신도시의 공원녹지계획
3. 연구방법
    3.1 연구대상
    3.2 연구방법
4. 결과 및 고찰
    4.1 새만금 기본계획에서 보는 녹화공간의 문제와 과제
    4.2 새만금 개발사업에서 보는 녹화공간의 문제와 과제
    4.3 새만금 녹화공간의 개선방안
5. 결론
References
저자
  • 김현숙(전북대학교 도시공학과) | Hyunsuk Kim (Dept. of Urban Engineering, Jeonbuk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