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작업치료 전공 대학생의 작업치료 윤리 의식과 윤리 교육에 대한 연구 KCI 등재

A Study on Occupational Therapy Ethics Awareness and Education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Occupational Therap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034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대한보조공학기술학회지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ssistive Technology)
대한보조공학기술학회 (The Korean Society of Assistive Technology)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예비 작업치료사인 작업치료 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작업치료 윤리 인식과 윤리 교육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앞으로 작업치료 윤리 인식의 확산과 윤리 교육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2019년 11월 14일부터 18일까지 전국에 있는 8개 대학교 작업치료학과 재학생 420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연구이다. 일반적 특성에 대한 8문항과 대학생과 치료사의 윤리 가치관을 알아본 선행 연구에 기초하여 작업치료 윤리에 대한 가치관과 윤리 교육에 대한 7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작성하였고, 온라인 형태로 배포하여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SPSS 21.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일반적 특성과 윤리 의식, 윤리 교육 수준은 기술통계분석을 통해, 각 변인 사이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카이제곱 검정을 실시하였다.
결과 : 작업치료 전공 대학생들은 상황에 따라 윤리적 가치관이 달라지는 경우와 매우 확고한 윤리 가치관을 가진 경우가 비슷하게 나타났으며, 작업치료 윤리강령에 대한 인식은 중간인 것으로 나타났다. 정규교육에서의 윤리 교육에 대한 경 험이 없는 경우가 더 많았으며, 대다수가 윤리 교육이 필요하며 교육에 참여하겠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연령, 학년, 임상실습 유무에 따라서 작업치료사 윤리강령에 대한 인식과 윤리 교육 경험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윤리 교육 요구도는 차이가 나지 않았다. 윤리 교육 유무에 따른 윤리적 가치관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작업치료 전공 대학생들의 작업치료 윤리강령에 대한 인식 정도는 중간으로 나타났으나 자신의 윤리적 가치관에 대해서는 혼란스러운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윤리 교육을 경험한 학생일수록 가치관이 확고하다는 결과를 종합하였을 때 작업치료 정규 교과과정 중에 윤리 교육이 필요하며, 교육을 통해 확고한 윤리적 가치관을 갖춘 작업치료사가 배출될 것으로 예측 할 수 있다. 작업치료의 철학적 가치와 보조공학의 주요 핵심 윤리강령은 많은 부분을 공유하고 있어 향후 작업치료 분야의 윤리 관련 연구와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윤리적인 보조공학 전문가 양성에도 큰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spread of the ethical awareness of occupational therapy and the development of ethical education by examining the ethical awareness and ethical education of occupational therapy major university students who are pre-occupational therapists. Methods :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November 14 to November 18, 2019, targeting 420 students from 8 universities nationwide.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the questionnaire tool was prepared and the data was collected by distributing it online. The data was analyzed. by using SPSS 21.0 statistical program, an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ethical awareness, and ethical education level were analyz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and chi-square test were conducted to find out the difference between each variable Results : The students majoring in occupational therapy were similarly found to have very strong ethical values when their ethical values vary depending on the situation, and their awareness of the Occupational Therapy Code of Ethics in occupational therapy was found to be moderate. Most of them answered that they had no experience about ethics education in regular education, but they said that education was very sufficient or sufficient. Most of them answered the ethics education is necessary and will participate if there is educational program..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awareness of the Occupational Therapy Code of Ethics and the experience of ethics education depending to age, grade, and the presence of the clinical practice,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demand for ethics education. There was a difference in ethical values according to the existence of ethics education. Conclusions : The degree of awareness of the Occupational Therapy Code of Ethics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occupational therapy was moderate, but they were confused about their ethical values. Also, considering the results in this study that the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ethical education present a strong sense of value, it can be predicted that the ethics education is necessary in the regular curriculum of the occupational therapy and the occupational therapists with the strong ethical values will be produced through the educ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ethical-related research and educational programs in the field of occupational therapy at the same time.

목차
국문초록
I. 서 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2. 연구 과정
    3. 연구 도구
    4. 자료 분석
Ⅲ. 연구 결과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 작업치료 윤리에 대한 인식도
    3. 작업치료 윤리 교육 경험과 요구도
    4.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작업치료 윤리인식도 차이
    5.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작업치료 윤리교육 경험 차이
    6.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작업치료 윤리교육 요구도 차이
    7. 윤리 교육 경험, 종교 및 보건·의료분야 종사자 가족의 유무에 따른윤리적 가치관 차이
Ⅳ. 고 찰
Ⅴ. 결 론
References
Abstract
저자
  • 홍기훈(가야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Hong Ki-Hoon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Kaya University)
  • 정민예(연세대학교 소프트웨어 디지털헬스케어 융합대학 작업치료학과) | Jung Min-Ye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Software and Digital Healthcare Convergence Yonsei University)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