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대학생 코칭역량 척도개발 KCI 등재

College Students’ Coaching Competency: Scale Development and Valida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038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100원
코칭연구 (Journal of Korean Coaching Research)
한국코칭학회 (The Korean Association of Coaching)
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의 코칭역량 척도개발을 목적으로 대학생의 코칭역량 구성 요인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척도문항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대학생의 코칭역량 척도의 구성요인과 예비문항을 구성하기 위해 선행연구 및 문헌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전문가 인터뷰를 진행하여 대학생 코칭역량의 개념을 정의하고 구성요인을 도출하여 예비문항을 구성하였다. 구성된 예비문항으로 코칭전공 교수 2인, 코칭전공 석사 2인, 코칭전공 박사과정 5인, 코칭을 경험한 대학생 3인 등 12명을 선정하여 1차ㆍ2차 전문가 내용타당도를 검증하였다. 1차ㆍ2차 전문가 내용타당도를 통해 추출된 예비척도 89문항의 척도 요인 및 문항 구성을 확인하기 위해 서울, 경기, 충청, 경상 및 전라 등 전국적으로 512의 설문 자료로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6개 요소 35개의 문항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문항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모형 적합도를 살펴보았으며, 집중타당성과 판별타당성을 확보하였다. 연구결과 대학생 코칭역량 척도의 구성요인은 자기다움 역량군의 자기이해 역량 5문항ㆍ자기관리 역량 5문항, 커뮤니케이션 역량군의 관계형성 역량 6문항 ㆍ의사소통 역량 6문항, 행동변화를 이끄는 역량군의 질문 역량 6문항ㆍ목표설 정 및 실행 역량 7문항으로 총 6가지 역량요소와 35개의 문항으로 대학생의 코칭역량 척도를 확정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mponents of college students' coaching competence and develop and validate scale questions based on them. Preliminary studies and literature research were conducted to organize the components and preliminary questions of the coaching competence scale of college students, and focus group interviews (FGI) were conducted to define the concept of college students’ coaching competence and derive components to form preliminary questions. As a preliminary question, 12 people, including two coaching professors, two master's degrees in coaching, five doctorates in coaching, and three college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coaching, were selected to verify the content feasibility through two rounds. In order to identify the 89 preliminary scale factors and questions extracted from the 1st and 2nd expert's content feasibility verifications,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with 512 survey data nationwide, including Seoul, and Gyeonggi, Chungcheong, Gyeongsang, and Jeolla Provinces. Through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35 questions were extracted. Verifiable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with extracted questions to examine model adequacy, and intensive feasibility and discriminative feasibility were obtain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components of the coaching competency scale of college students confirmed a six competence factors and 35 questions for competence scales with five self-understanding capabilities, five self-management capabilities, six communication capabilities, six communication capabilities, seven action capabiliti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대학생의 발달 특성
    2. 코칭역량의 개념과 구성요소
    3. 대학생 코칭역량의 구성요소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절차
    3. 자료분석 방법
Ⅳ. 연구결과
    1. 대학생의 코칭역량 척도 구성요인
    2.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3.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한 타당성 검증
    4. 척도 개발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Abstract
저자
  • 도미향(남서울대학교 아동복지학과/ 대학원 코칭학과) | Do Mi-Hyang (Department of Coaching, Namseoul University.)
  • 박신후(남서울대학교 대학원 코칭학과) | Park Sheen-Hoo (Department of Coaching, Namseou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 심정자(남서울대학교 대학원 코칭학과) | Shim Jeung-Ja (Department of Coaching, Namseoul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