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스마트폰 과의존 개선을 위한 스마트 미디어 기반 코칭의 효과 연구 KCI 등재

The Effectiveness of Smart Media-Based Coaching to Improve Smartphone Overdependenc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038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7,000원
코칭연구 (Journal of Korean Coaching Research)
한국코칭학회 (The Korean Association of Coaching)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폰 과의존 개선을 위한 스마트 미디어 기반 코칭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 적용된 코칭 프로그램은 문헌 조사와 전문가 자문 및 타당성 검토를 통해 최종 개발되었다. 프로그램은 VR를 활용한 마음챙김 코칭, 스마트 밴드를 활용한 웰니스 코칭, 스마트폰 과의존 개선을 위한 심리․라이프 코칭으로 구성되었으며, 모든 코칭은 GROW 대화 모델을 기본적으로 적용하였다. 연구 대상은 대한민국에 거주하는 대한민국 국적의 스마트폰 과의존 위험군 성인이며, 성인이 주 사용자인 온라인 커뮤니티와 SNS 등을 통해 80명의 참가자를 모집하였고, 40명을 최종 선발하였다. 연구 결과 코칭 프로그램이 실험군이 대조군과 비교해 사후, 추후 검사 모두에서 스마트폰 과의존의 하위 요인인 조절 실패와 현저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또 다른 하위 요인인 문제적 결과는 사후, 추후 검사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따라서 추후 연구에서는 문제적 결과도 개선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 내용을 수정․보완하고, 대상 및 상황별 문제적 결과(심리적․신체적․사회적 영향)에 대한 상세한 분석을 위해 관련 척도를 추가로 적용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스마트폰 과의존 개선을 위한 최초의 스마트 미디어 기반 코칭 프로그램으로서 의의가 있으며 관련 연구 및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mart media-based coaching program for improving smartphone overdependence and to verify its effectiveness. The coaching program used in this study was developed through literature review, consulting with a specialist, and a feasibility study. The program consisted of mindfulness coaching using virtual reality (VR), wellness coaching using smart bands, and psychological and life coaching for improving smartphone overdependence. The coaching also applied the GROW conversation model by default. The study subjects were adults in the smartphone overdependence risk group of Korean nationality residing in South Korea. 80 participants were recruited through online communities and SNS, where adults are the main users, 40 participants were finally selected. In both the post-test and follow-up tests, the coaching program demonstra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in loss of control and salience, two sub-factors of smartphone overdependence, in the experimental group whe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However, another sub-factor, problematic consequence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both the post-mortem and follow-up tests. Therefore, in future research, it is necessary to revise and supplement the program contents to improve problematic consequences, and to apply additional measures for detailed analysis of the problematic consequences (psychological, physical, and social impact) by subject and situation. This study contributes academically as the first study on a smart media-based coaching program for the improvement of smartphone overdependence and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related research and program development.

목차
Ⅰ. 서론
II. 이론적 배경
    1. 스마트폰 과의존
    2. 코칭
III. 스마트 미디어 기반의 코칭
    1. 스마트폰 과의존 개선과 스마트 미디어 기반 코칭
    2. 스마트폰 과의존 개선을 위한 심리․라이프 코칭
    3. VR을 활용한 마음챙김 코칭
    4. 스마트 밴드를 활용한 웰니스 코칭
IV.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2. 연구 절차
    3. 측정 도구
    4. 자료 분석
    5. 연구 윤리
V. 연구 결과
    1. 스마트 미디어 기반 코칭 프로그램의 내용과 구성
    2. 코칭 프로그램의 효과성 및 효과 지속성 검증 결과
VI. 논의 및 결론
    1. 논의
    2. 결론 및 제언
참 고 문 헌
Abstract
저자
  • 류승원(코칭연구소 아이엠) | You Seung-Won (Coaching Lab, I.AM)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