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역할스트레스, 정서적 소진, 정신건강 간의 관련성 : 대전시 지역아동센터 종사 자를 중심으로 KCI 등재

Relationship between Role Stress, Emotional Exhaustion, and Mental Health among Community Children’s Center Workers : Focusing on workers at the Community Children's Center in Daejeon Cit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039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400원
한국과 국제사회 (Korea and Global Affairs)
한국정치사회연구소 (Korea Institute of Politics and Society)
초록

본 연구에서는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정서적 소진 및 정신건강 예방 책을 마련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SSO모델을 근거로 역할 스트레스와 정서적 소진 및 정신건강의 관련성을 검증하였다. 대전지역의 지역아동센터 종사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자료 중 140명의 자료를 활용하여 역할스트레스(Stress)→정서적 소진(Strain)→정신건강(Outcome)의 인과관계모형에 대해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검증하였다. 그 결과, 연구모형의 적합도가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했으며 변수 간 관련성에 있어서도 역할스트레스가 정서적 소진을 통해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역할과부하는 정신건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정서적 소진과 정신건강에 영향을 주는 역할스트레스를 낮출 수 있는 지원방안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role stress, emotional exhaustion, and mental health was verified based on the SSO model in order to secure basic data necessary to prepare preventive measures for emotional exhaustion and mental health of Community children's center workers. A survey of workers employed in a community children's center located in Daejeon, South Korea, was conducted, and a causal relationship model including the variables of role stress (Stress), emotional exhaustion (Strain), and mental health (Outcome) was tested by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using the data from 140 respondents. In the analysis results, the research model’s goodness-of-f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n examination of the correlation among the variables, the role stress was proven to affect mental health through emotional exhaustion. Furthermore, role overload had a direct effect on mental health. Based on these results, this paper discussed various support plans to reduce role stress, which is an influential factor of emotional exhaustion and mental health.

목차
논문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Stress-Strain-Outcome(SSO)모형
    2. 역할스트레스, 정서적 소진, 정신건강에 관한 선행연구
Ⅲ. 연구설계
    1. 연구모형
    2. 분석자료
    3. 측정도구
    4. 분석방법
Ⅳ. 연구결과
    1.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2. 측정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3. 연구모형 검증결과
Ⅴ.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저자
  • 박지선(우송대학교) | Park Ji-Sun (Woosong University)
  • 류한수(우송대학교) | Ryu Han-Su (Woosong University)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