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교사의 예술적 교육과정 인식 및 실행 정도에 관한 연구 KCI 등재

A Study on the Perception and Implementation of the Artistic Model of Curriculum of Teacher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0419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교원교육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Center For Education Research)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교사들이 예술적 교육과정의 중요성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실행 정도는 어떠한지 탐구하는데 있다. 예술적 교육과정의 23개 내용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행 정도에 대해 묻기 위해 총 46개의 선택형 문항이 Likert 5점 척도로 구안되었다. 설문지에는 교사의 예술적 교 육과정에 대한 인식과 사례를 묻는 2개의 서술식 문항도 추가되었다. 설문지의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해 4명의 전문가가 참여하였으며, 연구대상은 26명의 교사로 구성되었다. 연구대상의 배경변인은 학교급, 교직경력, 학력, 교육과정 재구성 경험으로 설정되었다. 연구방법은 빈도분석, 평균차이 검증, 질적사례분석으로 혼합연구의 성격을 갖는다. 연구결과 다음과 같은 네 가지 결론이 도출되 었다. 첫째, 교사는 예술적 교육과정에 대해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반면, 자신의 예술적 교육과정 실행에 대해서는 낮게 평가하고 있었다. 둘째, 학교급, 교직경력, 학력에 따른 예술적 교육과정 에 대한 인식과 실행의 통계량 비교는 대부분의 문항에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다른 배경변인과는 다르게 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 경험의 정도는 많은 문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이는 예술적 교육과정과 관련한 교사 역량이 교육과정 재구성 경험을 통해 신장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넷째, 교사들은 예술적 교육과정을 교육적 상상력, 현장 주도적 교육과정, 종합적 관점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이 연구의 결과가 모호하고 어렵기만 했던 예술적 교육과정을 좀 더 실제적이고 피부에 와닿는 개념으로 이론화하는데 기여하기를 바란다.

This study explores the perception and implementation of teachers on the artistic model of curriculum. The questionnaire questions were designed to be 46 about the perception and implementation of the artistic model of curriculum of teachers. Two descriptive questions were added to the questionnaire asking teachers' perception and case of the artistic model of curriculum, and four experts participated to review the validity of the questionnair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6 teachers, and the background variables of the subjects were school level, teaching career, academic background, and experience of reconstruction of curriculum. The research methods are frequency analysis, average difference test, and qualitative case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recognize the artistic model of curriculum as important. However, teachers are low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artistic model of curriculum. Second, the comparison of the statistical amount of recognition and implementation of the artistic model of curriculum according to school level, teaching career, and academic background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ost questions. Third, teachers' experience of reorganizing curriculum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many questions. This shows the possibility that teacher competency related to the artistic model of curriculum can be improved through the experience of reconstruction of curriculum. Fourth, teachers recognize the artistic model of curriculum as enabling educational imagination, field-oriented curriculum, and comprehensive perspective. I hope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help the theoreticalization of the artistic model of curriculum as a more practical and skin-friendly concept.

목차
<< 요 약 >>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이론적 배경
    1. 예술적 교육과정의 개념
    2. 예술적 교육과정의 유형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1. 인식과 실행 정도 분석
    2. 배경변인에 따른 차이 분석 결과
    3. 교사가 인식하는 예술적 교육과정의 개념과 실행 사례
Ⅴ. 결 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성정민(공주대학교) | Seong Jeong-Min (Kongju National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