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언어적 접근을 활용한 학생들의 시간개념 분석 KCI 등재

Analysis of Students' Concept of Time Using a Linguistic Approach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0421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교원교육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Center For Education Research)
초록

초, 고등학생들이 작성한 대몽항쟁 서사는 유사하지만 세부내용에서 차이가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세부내용의 차이를 만드는 시간개념을 언어적으로 어떻게 표현하는지를 살펴보았다. 초등학생과 고등학생이 주로 사용하는 시간개념 유형이 달랐다. 구체적으로 보면, 초등학생과 고등학생 모두 시간 단계화하기를 많이 활용하였다. 학생들은 대몽항쟁의 시작, 과정, 결과를 순서대로 서술하였다. 초등학생은 전쟁의 패배로 서술을 끝냈지만 고등학생들은 전쟁이 끝난 이후 공민왕과 권문세족의 등장으로 시간을 이어나갔다. 시간 설정하기에 서 학생들은 일반적 시간표현과 대강의 시간표현으로 시간을 설정하였다. 초등학생이 일반적 시간 표현을 주로 사용했다면 고등학생들은 세기까지 고려한 대강의 시간범주까지 사용하였고 시간의 범위를 오늘날까지로 확장하였다. 시간 분할하기는 초, 고등학생간 차이가 많이 나타났다. 원간섭기, 대몽항쟁기와 같은 시간을 포함한 역사용어가 고등학생에게 주로 나타났다. 시간을 통해 조직 하기는 초, 고등학생 모두 ‘이후’라는 언어장치를 사용하여 앞 사건과 뒤 사건을 순서대로 연결하려고 하였다. 고등학생은 순서를 제시하는 언어장치를 활용하여 앞으로 다룰 내용을 전체적으로 개괄한 후 순서에 따라 내용을 제시하였다. 시간을 표현하는 장치이면서도 텍스트 구조 표지어 역할도 하였다. 초, 고등학생이 활용한 시간개념을 볼 때, 역사의 시간이 단절된 것으로 파악하는 초등학생에게 역사의 계속성과 함께, 시간을 포함한 역사용어와 같이 특수한 역사용어를 가르쳐야 한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예컨대, 일반적 시간표현보다 대강의 시간표현을, 대몽항쟁과 같은 특수한 역사용어를 익혀나가는 과정을 경험하게 하는 것이다. 이는 일상언어가 역사언어로 전환하는 과정이다.

This study analyzed students' time expressions by focusing on five types of time concepts.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linguistic resources expressing the concept of time in the writings of elementary and high school students. High school students used more diverse linguistic resources th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concept of time was also different in the type mainly used by elementary and high school students. Specifically, it is as follows. Elementary school students grasped time separately and mainly used general time expressions. On the other hand, high school students grasped time continuously and mainly used a rough concept of time. Moreover, historical terms including time appeared mainly in high school students. It is necessary to teach the continuity of time and special historical terms such as historical terms including time. The history language should be especially taught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various ways. It is an experience of turning everyday language into historical language

목차
요 약
Ⅰ. 서 론
Ⅱ. 연구대상 및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분석기준과 분석방법
Ⅲ. 언어장치로 분석한 학생들의 시간개념
    1. 시간을 표현한 언어장치
    2. 초등학생과 고등학생의 시간개념 분석
Ⅳ. 초, 고등학생의 시간개념 표현 방식과 그 시사점
Ⅴ. 나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이해영(공주교대) | Lee Hae Young (G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