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초·중학생용 『디지털 시민성 척도』 개발 및 타당화 KCI 등재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Digital Citizenship Scale fo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0429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교원교육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Center For Education Research)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고도 디지털 기반 초연결사회를 살아가는 초‧중학생의 디지털 시민성을 측정 하기 위한 디지털 시민성 측정 도구를 개발하여 타당화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시민성 측정 도구 관련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척도개발에 적합한 문항을 구성한 후 2회의 델파이 조사를 통해 문항 38개를 선정하였다. 그다음 서울, 경기지역 초등학교 5학년∼중학교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예비검사를 온라인 조사로 실시해 취합된 386명의 자료를 가지고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29개 문항, 6개 요인(디지털 보안, 공감, 사회적 책임, 디지털 자아정체감, 디지털 사회이해, 비판적 사고)으로 구성된 디지털 시민성 측정 도구가 도출되었다. 본 검사를 통해 취합된 417명을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적합도 검증을 한 결과, 모두 권장수준 이상으로 나타나 디지털 시민성을 측정하는 도구로 적합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신뢰도를 확인한 결과 .92이며, 요인별로는 .70∼.89로 안정적인 척도임을 입증하였다. 준거 관련 타당도 분석결과, 본 척도와 청소년 디지털 시민성 도구가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초등학교와 중학교 학생에게 활용 가능한 타당하고 신뢰성 있는 도구임을 시사해 주고 있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디지 털 시민성 교육 및 환경조성을 위한 기초연구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a scale for investigating the digital citizenship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To this end, 38 preliminary items were selected through Delphi surveys after analyzing prior studies on digital citizenship measurement to derive items necessary for scale development. Then,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5th to 3rd graders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nd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with the 386 pieces of data that were collected. According to the analysis, a scale composed of 29 questions and six factors (digital security, empathy, social responsibility, digital self-identification, digital social understanding, and critical thinking) was derived. Furthermore, the conformity verification of 417 students involved in the second survey was conducted through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all of them were above the recommended level and were suitable for measuring digital citizenship. We also checked the reliability of the measure. The item Internal consistency was .92, proving to be stable, with factors ranging from .70 to 89. The results of the criterion-related validity analysi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sub-factors of this scale and the youth digital citizenship scale. These results suggest that it is a valid and reliable measurement that can be used fo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adolescents. This study may then be used as a basic research source for digital citizenship education for adolescents.

목차
요 약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1. 디지털 시민성 개념 및 구성 요소
    2. 디지털 시민성 측정 도구 관련 선행연구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도구
    3. 연구절차
    4. 자료수집 및 분석
Ⅳ. 연구결과
    1. 디지털 시민성 척도개발을 위한 문항
    2. 디지털 시민성 척도개발
    3.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이준(한국외국어대학교) | Lee June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 유숙경(한국외국어대학교) | You Suk-Kyung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 이윤옥(동덕여자대학교) | Lee Yun-Oug (Dongduk Women's University)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