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초‧중등교육에서 블렌디드 교육으로의 전환을 위한 교사의 역량 및 지원 요구 KCI 등재

Teachers' Competencies and Needs for Blended Learning in Primary and Secondary Educa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0434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교원교육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Center For Education Research)
초록

이 연구는 코로나19로 인해 급속히 도입된 온라인 수업을 경험한 교사를 대상으로 향후 초‧중등 교육에 미래 교육 방법으로 안착될 블렌디드 러닝에서 요구되는 교사 역량을 탐색하고, 전통적인 대면 수업에서 블렌디드 러닝으로의 전환을 위해 필요한 제도적 지원에 대한 요구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두 차례의 설문 조사(개방형, 척도형), 문헌 조사, 해외 사례 조사를 실시하였다. 문헌 및 설문 조사 결과, 블렌디드 러닝을 위해 교사는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와 재구성 역량,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과 테크놀로지를 수업에 의미 있게 통합하고 활용하는 역량, 온라인 수업 시 활동 데이터를 통해 학생을 진단하고 모니터링 하는 역량, 온‧오프라인 수업에서의 학습활동 정보를 활 용한 학생별 맞춤형 지도‧지원 역량 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더불어 해외 사례의 시사점과 문헌 조사, 그리고 설문 조사 결과를 통해 블렌디드 러닝으로의 전환을 위해 요구되는 정책적 지원 방안으로 교사의 새로운 역할 수행과 전문성 개발을 위한 교사 역량 제고, 교사의 온라인 수업 지원을 위한 학교와 교육청 수준의 물적‧인적 인프라 구축, 취약 계층 가정의 온라인 교육 격차 해소를 위한 단계적 지원 체제 구축, 블렌디드 러닝 방식을 적용한 수업 및 평가 전략 수립을 제안 하였다.

The study sought to identify teacher competence and needs required in implementing blended learning, which has drawn great attention as a form of future learning due to the COVID-19 pandemic. To this end, a group of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with experience in managing online classes were asked to respond to three rounds of surveys, and a literature review and case studies were carried out. The results show that teacher competence for blended learning consists of nine competencies across three categories. First, to prepare for online classes, the ability to reconstruct the curriculum by taking advantage of the characteristics of blended learning, the ability to design learning experiences for customized learning, and the ability to integrate teaching and technology were identified as essential. For the operation of online teaching, communication competence, facilitation competence and digital literacy competence were identified as essential, which included communicating with students using technical aids and the development of strategies for interaction and providing feedback. Finally, it was shown that for student evaluation, student diagnosis and monitoring abilities based on online learning activity records, big data interpretation and utilization competence, and the ability to understand and deal with fairness issues in online evaluation were identified as required. The results also show that teachers needed to develop new roles and expertise in implementing blended learning, to build digital infrastructure and human resources for schools, to establish step-by-step support systems for blended learning engagement for vulnerable families, and to form teaching, learning, and evaluation strategies with blended learning.

목차
요 약
Ⅰ. 서 론
Ⅱ. 온라인 학습과 블렌디드 러닝: 이론적 토대와 실천적 대응
    1. 블렌디드 러닝의 개념 및 실천을 위한 교사 역량 탐색
    2. 블렌디드 러닝을 위한 지원 탐색: 코로나19 대응 해외 온라인 수업 운영 사례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방법 및 절차
Ⅳ. 연구결과
    1. 블렌디드 러닝을 위한 교사 역량
    2. 블렌디드 러닝을 위한 교사 요구
Ⅴ. 결 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홍선주(한국교육과정평가원) | Hong Sunjoo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 이명진(한국교육과정평가원) | Lee Myung-Jin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