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파프리카 묘의 직접 정식 시 절곡 방법에 따른 생육 및 생산량 KCI 등재

Growth and Yield According to Various Bending Methods when Planting Seedlings Directly on Coir Substrate Slabs in Paprika Cultiva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048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생물환경조절학회지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초록

코이어 배지를 이용한 파프리카 재배에서 직접 정식 시 절곡 방법에 따른 정식 후 초기 생육과 수확량을 비교하였다. 절곡 방법은 I-type(절곡각도 0°), 옆으로 뉘인 L-type(절곡각도 90°), 뒤집어서 뿌리가 위로 향하도록 하는 U-type(절곡각도 180°)로 하였다. 줄기 신장 및 직경, 엽면적의 주간 평균 발달량은 정식 후 초기에 다른 처리구에 비해 영양생장이 왕성하였던 I-type에서 가장 높았다. 정식 후 46주째의 뿌리 무게도 I-type 처리구에서 다른 처리구들에 비해 약 1.3-1.7배 정도 무거웠다. 처리구별로 330주에서 생산된 수확량은 각각 약 510, 420 및 480kg으로 I-type에서 가장 높았다. 따라서 코이어 배지를 활용한 파프리카 재배에서 직접 정식 시 정식 초기의 뿌리 활착 및 세력 확보, 그리고 이후 착과 안정성에서 I-type이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growth and production of paprika (Capsicum annuum) planted directly on a coir substrate slab according to the bending methods. The existing root direction was bent to 0° (I-type), 90° (L-type), and 180° (U-type), respectively. The weekly average growth such as stem length, diameter, and leaf area tended to be the highest in the I-type bending,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Root weight at 46 weeks after planting was also about 1.3 to 1.7 times heavier in the I-type than the L- and U-type bending. As the yield produced by 330 plants by bending methods, the initial yield was the highest in the U-bending, but then the highest in the I-bending. Accordingly, the total yield was the highest in I-bending. Consequently, when planting on coir substrates directly in paprika cultivation, the I-type bending should be considered most suitable for securing root and plant vigor in the early stages of planting and for enhancing fruiting stability.

목차
Abstract.
서 론
재료 및 방법
    1. 파프리카 묘 양성
    2. 파프리카 정식 방법 및 관리
    3. 정식 이후 생육 및 생산성 조사
    4. 통계처리
결과 및 고찰
    1. 파프리카 묘의 직접 정식 시 절곡 방법에 따른 지상부및 지하부 생장
    2. 파프리카 묘의 직접 정식 시 절곡 방법에 따른 착과및 생산량
적 요
Literature Cited
저자
  • 허영문(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원예학과) | Young Mun Hur (Department of Horticulture, Graduate School, Wonkwang University)
  • 고바울(국립원예특작과학원) | Baul Ko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and Herbal Science)
  • 구양규(원광대학교 원예산업학부/원광대학교 생명자원과학연구소/원광대학교 식물육종연구소) | Yang Gyu Ku (Division of Horticulture Industry, Wonkwang University/Institute of Life Science and Natural Resources, Wonkwang University/Institute of Plant Breeding Research, Wonkwang University)
  • 김철민(원광대학교 원예산업학부/원광대학교 생명자원과학연구소/원광대학교 식물육종연구소) | Chul Min Kim (Division of Horticulture Industry, Wonkwang University/Institute of Life Science and Natural Resources, Wonkwang University/Institute of Plant Breeding Research, Wonkwang University)
  • 김호철(원광대학교 원예산업학부/원광대학교 생명자원과학연구소/원광대학교 식물육종연구소) | Ho Cheol Kim (Division of Horticulture Industry, Wonkwang University/Institute of Life Science and Natural Resources, Wonkwang University/Institute of Plant Breeding Research, Wonkwang University)
  • 배종향(원광대학교 원예산업학부/원광대학교 생명자원과학연구소/원광대학교 식물육종연구소) | Jong Hyang Bae (Division of Horticulture Industry, Wonkwang University/Institute of Life Science and Natural Resources, Wonkwang University/Institute of Plant Breeding Research, Wonkwang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