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관부 난방시스템과 온수 양액 공급이 온실 에너지 사용량, 딸기 생육 및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KCI 등재

Analysis on the Effect of the Crown Heating System and Warm Nutrient Supply on Energy Usage in Greenhouse, Strawberry Growth and Produc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048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생물환경조절학회지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초록

본 연구에서는 ‘설향’ 딸기의 관부를 부분 난방하고 양액을 온수로 공급하면서 관행 재배 방식에 비해 온실 공간 온도를 낮게 관리하는 딸기 부분 난방 시험을 수행하였다. 정식 후 11월까지는 특별한 처리가 없어 대조구, 시험구 모두 온실 내 환 경이 유사하게 관리되었으며 관부 난방 및 온수 양액을 공급 하기 시작한 12월부터는 야간의 온실 온도, 관부 온도 및 베드 온도가 차이를 보였다. 12월의 온실 야간 평균 온습도는 대조구 7.1℃, 87.2%, 시험구 5.7℃, 88.7%로 시험구의 온도가 낮았으나 관부 난방을 수행함으로써 시험구 온실의 관부 및 베드의 온도를 9.3℃, 12.7℃로 유지하였고, 대조구 온실의 관부 및 베드 온도 7.9℃, 10.8℃보다 높게 관리할 수 있었다. 시험기간 내에서 시험구 온실의 딸기 관부 및 베드 온도는 대조구에 비해 모두 약 2.0℃ 가량 높게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간에는 온수 양액을 공급함으로써 지하수를 이용했을 때보 다 평균 8.7℃ 높은 온도 양액을 공급할 수 있었고 이로 인해 베드 온도도 약 5.0℃ 가량 높게 나타났다. 시험구에서는 시험 기간 동안 온실 난방, 관부 난방 및 온수 양액 공급에 총 9,475.7×10 3 kcal의 에너지를 소비하였고 대조구에서는 온실 공간 난방에 총 16,847×10 3 kcal의 에너지를 소비하여 시험구에서 대조구 대비 약 43.8%의 에너지 절감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구에서 딸기 관부의 온도를 높게 관리함으로써 작물의 생육을 촉진시킬 수 있었고 그로 인해 정식 후 초세가 대조구에 비해 좋지 않았던 시험구의 딸기가 25주 후에는 대조구와 생육적인 면에서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딸기의 수확량은 초세가 좋았던 대조구에서 1화방의 수확량이 시험구에 비해 많았으나 2화방, 3화방에서는 관부의 온도를 높게 관리한 시험구의 수확량이 더 많았다. 3월 말까지의 주당 수확량은 시험구 412.7g/plant, 대조구 393.3g/plant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으나 시험구가 대조구에 비해 4.9% 많이 나온 것으로 보아 딸기의 온도 민감부인 관부의 온도를 높게 관리하는 것이 딸기 생육과 생산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In this study, experiments of local heating on crown and supplying warm nutrient for energy saving and improving growth of ‘Seolhyang’ strawberry were conducted. The temperature of inside and crown in greenhouses which were control (space heating 8℃) and test (space heating 5℃+crown heating) was measured. In the control greenhouse, the average of temperature and humidity in December was 7.1°C, 87.2%, respectively. In the test greenhouse, the average of temperature and humidity in December was 5.7°C, 88.7%. The temperature of crown and inside the bed were 7.9℃, 10.8℃ in control, 9.3℃, 12.7℃ in test. During the test period, the total 16,847×10 3 kcal of energy was consumed in control greenhouse including space heating. In test greenhouse including space heating, crown heating and warm water supplying, total 9,475.7×10 3 kcal of energy was consumed. So, energy consumption in test was 43.8% less than in the control. The total yields of strawberry during test period were 412.7g/plant for test greenhouse and 393.3g/plant for control greenhouse respectively.

목차
Abstract.
서 론
재료 및 방법
    1. 시험온실 및 공시품종
    2. 관부 난방 및 온수 양액 공급 시스템
    3. 온실 온습도, 딸기 관부 등 온실 내외부 환경 측정
    4. 에너지 사용량, 생육 및 생산성 조사
결과 및 고찰
    1. 온실 내외부 온습도 비교
    2. 딸기 관부, 베드 및 관수 온도 비교
    3. 관부 난방 및 온수 공급에 따른 에너지 사용량 비교
    4. 관부 난방 및 온수 공급이 작물 생육 및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적 요
Literature Cited
저자
  • 이태석(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시설원예연구소) | Taeseok Lee (Protected Horticulture Research Institute, NIHHS, RDA) Corresponding author
  • 김진구(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시설원예연구소) | Jingu Kim (Protected Horticulture Research Institute, NIHHS, RDA)
  • 박석호(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채소과) | Seokho Park (Vegetable Research Division, NIHHS, RDA)
  • 이재한(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시설원예연구소) | Jaehan Lee (Protected Horticulture Research Institute, NIHHS, RDA)
  • 문종필(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에너지환경공학과) | Jongpil Moon (Division of Energy & Environmental Engineering, NIAS, RD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