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상사의 비인격적인 행동, 리더호감 및 과업성과 간의 관계 연구 - 구성원 친교욕구의 조절된 매개효과 - KCI 등재

The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busive Supervision, Leader Liking, and Task Performance -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Subordinate's Desire for Friendship -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0942
  • DOIhttps://doi.org/10.14396/jhrmr.2021.28.4.12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800원
인적자원관리연구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Research)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Korean Academy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초록

본 연구는 조직 내 부정적 리더십의 한 형태로 관심을 받고 있는 상사의 비인격적 행동이 구성원의 과업성과에 미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상사의 비인격적 행동이 과업성과에 미치는 과정에서 매개변수로써 구성원이 인식한 상사에 대한 호감(이하 리더호감)과 조절변수로서 구성원의 내적 특성인 친교 욕구를 살펴보았다. 변수 간 관계를 검증하기 위하여 설문 조사를 통하여 변수들을 측정하였으며, 다양한 조직이나 회사에 근무하고 있는 구성원을 대상으로 구글(google) 설문지로 작성하여 페이스북을 통해 배포 및 173부를 회수하였다. 실증연구 결과 상사의 비인격적 행동과 구성원의 과업성과 간의 관계에서 리더 호감의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상사의 비인격적인 행동이 높을수록 리더호감은 감소하였고, 그 결과 과업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구성원의 친교욕구는 상사의 비인격적 행동, 리더 호감, 과업성과 간의 관계에서 조절된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즉, 친교욕구가 높은 구성원은 낮은 구성원 보다 상사의 비인격적인 행동에 따른 리더호감이 더 강하게 감소하였고, 과업성과에도 더 강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따른 시사점과 연구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process by which abusive supervision, which is receiving attention as a form of negative leadership within the organization, affects the task performance of the subordinate. In the process of abusive supervision on task performance, we examined the leader liking recognized by the subordinate and the need for friendship, which is the internal characteristic of the subordinate as a moderating variable.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the variables were measured through a survey, and a Google questionnaire was prepared for members working in various organizations or companies, distributed through facebook, and 173 copies were collected. As a result of the empirical study, the mediating effect of the leader liking was verifi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busive supervision and task performance. As the abusive supervision was higher, the leader liking decreased, and as a result, it was found to harm task performance. In addition,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the desire for friendship was verifi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busive supervision, leader liking, and task performance. In other words, it was found that subordinate with a high desire for friendship had a stronger decrease in leader preference due to the abusive supervision than those with low desire for friendship, and had a stronger negative effect on task performance.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are presented.

목차
국문초록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1. 상사의 비인격적인 행동, 리더호감 및 과업성과
    2. 구성원의 친교욕구의 조절된 매개효과
    1. 자료수집 및 연구표본의 특성
    2. 변수의 측정
    3. 분석방법
Ⅳ. 분석결과
    1. 측정도구의 타당도 및 신뢰도
    2. 변수의 기술통계량 및 상관관계
    3. 가설의 검증
Ⅴ. 결 론
    1. 연구결과 요약
    2. 이론적 & 실무적 시사점
    3.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과제
참 고 문 헌
저자
  • 김석봉(동아대학교 경영대학) | Kim Seokbong
  • 박희태(동아대학교 경영학과) | Park Heetae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