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Refractive Error according to Pupil Size and Corneal and Ocular Higher-Order Aberration in Myopia KCI 등재

근시에서 동공크기의 변화에 따른 굴절 이상과 각막 및 안구의 고위수차 관계 분석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153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대한시과학회지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대한시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Vision Science)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근시도에 따라 나누어 동공크기에 의한 굴절이상도의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안경원을 방문하여 i.profilerplus(Zeiss, Berlin, Germany) 검사를 시행 받은 18~56세의 성인 73명 (73안)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를 경도 근시, 중등도 근시, 그리고 고도 근시로 분류하였다. 각 근시 그룹에서 동공크기(5, 3 mm)에 따른 구면렌즈 대응치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를 시행하여 각 근시 그룹에서 동공크기에 따른 평균 구면렌즈 대응치의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평가하였다.
결과 : 평균 구면렌즈 대응치는 5 mm에 비해 3 mm일 때 경도 근시(–1.99±0.76 D와 -1.68±0.72 D), 중등도 근시(–4.24±0.97 D와 -4.04±0.90 D), 그리고 고도 근시(-8.06±1.51 D와 -7.95±1.40 D) 모두 유의하게 낮았다. 경도와 고도 근시에서는 구면수차와 수직코마수차가 동공크기에 따른 평균 구면렌즈 대응치의 차이에 영향을 미쳤으며, 중등도 근시에서는 구면수차가 동공크기에 따른 평균 구면렌즈 대응치의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근시도에 따라 동공크기가 변화할 경우 고위수차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안경사는 근시안의 경우 야간시에서 흐린 이미지로 인한 불편함의 가능성이 있음을 이해하고 안경처방을 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Purpose : We analyzed factors that affect the difference in refractive error according to the pupil size in myopia groups
Methods : The subjects were 73 adults (73 eyes) aged 18 to 56 who visited optical clinics and had the i.profilerplus (Zeiss, Berlin, Germany) test performed. Subjects were classified as mild, moderate, and high myopia. The difference in spherical equivalent according to the pupil size (3, 5 mm) in each myopia group was compared. Multiple regression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factors affecting the difference in refractive error according to pupil size in each myopia group. Results : The average spherical equivalent was significantly lower at 3mm compared to 5mm in mild (–1.99±0.76 and -1.68±0.72 D), moderate (–4.24±0.97 and -4.04±0.90 D), and high (-8.06±1.51 and -7.95±1.40 D) myopia. Spherical aberration and vertical coma aberration affected the difference in the average spherical equivalent depending on the pupil size in mild and high myopia. In moderate myopia, Spherical aberrations affected the difference in the average spherical equivalent depending on the pupil size in moderate myopia.
Conclusion : Higher-order aberrations may affect the difference in refractive error according to the pupil size. Optometrists understand the possibility of discomfort caused by blurry images at night in myopia and in myopia and prescription glasses.

목차
Abstract
Ⅰ. 서 론
Ⅱ. 대상 및 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방법
    3. 자료 분석
Ⅲ. 결 과
Ⅳ. 고 찰
References
요 약
저자
  • Jung-Hee Kim(동남보건대학교 안경광학과) | 김정희
  • Sun-Mi Lee(원광보건대학교 안경광학과) | 이선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