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이숙에 대한 『유가사지론』 입장: 『유식삼십송』의 이숙설과의 관계 중심으로 KCI 등재

The Viewpoint of The Yogācārabhūmi-Śāstra on Retribution(異熟): Focused on the Relation with Retribution Theory(異熟說) of the Triṃśikā-vijñaptimātratā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156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400원
불교문예연구 (Studies on Buddhist art and culture)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Studies on Buddhist art and culture)
초록

세친은 『유식삼십송』의 제1게송에서 가설의 ‘아(我)와 법(法)’은 식에 의존하여 전변한다고 선언한다. 제2게송에서 전변하는 식의 이름으로 이숙(異熟)과 사량(思量)과 요별경식(了別境識)을 거명하며 초전변식의 이름으로 아뢰야식, 이숙식, 일체종자식을 나열한다. 이숙은 초전변(初轉變)의 대표 이름으로 설정되며, 제19게송에서 이숙은 업과 2취(二取) 습기에 의해서 유전한다고 밝힌다. 제19게송은 세친이 『유가사지론』의 이숙의 유전설을 요약한 것으로 파악된다. 『유가사지론』은 이숙에 대하여 여러 교문에 의해서 설명한다. 먼저 구유의(俱有依), 등무간의(等無間依), 종자의(種子依)의 관계를 설정하여 5근과 의(意)와 이숙식의 연결을 시도한다. 또한 이숙이 생명을 받는 과정을 아애(我愛), 희론 종자, 업에 의해서 설명하는데, 이는 아집습기와 명언습기와 업습기를 의미한다. 아뢰야식은 초전변식의 자상(自相)에 해당하지만 이숙은 수없이 분별하여 만든 희론의 종자를 원인으로 품으며, 선악 등의 업 세력의 도움을 받으며 4생 6도와 같이 마음의 결과적 산물을 창출한다. 또한 이숙은 과보식의 명칭으로 중유(中有)에서 생유(生有)에 이르게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숙식은 청정한 진여 본성을 지니며 무루업에 의해 전변한다.

Vasubandhu proclaimed that the delusion of self and dharmas were supported and transformed by consciousness in the first verse of the Triṃśikā-vijñaptimātratā. He introduced retribution(異熟), thought(思量), and the perception of external objects(了別境識) as names of transformed consciousness(轉變識), and then presented the Ālaya Consciousness(阿賴耶識), retribution(異熟), and all the seeds(一切種) as names of the first transformed consciousness(初轉變識) in the second verse. Retribution was set up as the representative name of the first transformed consciousness(初轉變識), and was explained that it is exhausted and then renewed due to the habit energy of various actions(諸業習氣) and the habit energy of dualistic grasping(二取習氣) in 19th verse. We can understand that the content of 19th verse was the summing-up of the theory on the transition of retribution(異熟流傳) by Vasubandhu. The Yogācārabhūmi-Śāstra explained the retribution through various doctrines. First of all, after establishing relationship of sahabhūtāśraya(俱有依), samantarāśraya(等無間依), bījāśraya(種子依), the Yogācārabhūmi- Śāstra tried to relate five sense organs(五根), consciousness(識), and retribution(異熟). It also explained the process of birth with self-desire(我愛), conceptual elaboration(戱論), seed(種子), karma(業), which meant the habit energy of attachment of oneself(我執習氣), the habit energy of name-language(名言習氣), and the habit energy of actions(業習氣). The Ālaya Consciousness is the own unique character of the first transformed consciousness, but retribution takes seeds of conceptual elaboration which were made by imagination(分別) as the cause, and makes four different natures of life and six states of karmic existence(四生六道) by the energy of good or bad karmas. Retribution also is the name of phala-vipāka consciousness(果報識), and takes beings from bardo(中有) to birth(生有). Nevertheless, Retribution has pure nature of suchness, and is transformed by no defilement karma(無漏業).

저자
  • 강명희(동국대학교) | Kang Myung-Hee (Dongguk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