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법화경』 「상불경보살품」의 인간존중사상과 그 논리적 특징 KCI 등재

The Humanitarian Ideal and Its Logical Characteristics in the Chapter of Sangbulkyung Bodhisattva of the Saddharmapuṇḍarīka Sūtr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156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600원
불교문예연구 (Studies on Buddhist art and culture)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Studies on Buddhist art and culture)
초록

본고는 「상불경보살품」에 나타난 인간존중사상의 논리적 특징을 불성론의 입장에서 분석하고자 한다. 그렇지만 이 품에는 현대사회의 핵심 용어 중의 하나인 평등, 인격존중, 사랑 등에 관한 용어는 사용되고 있지 않다. 다만 상불경이란 용어는 ‘언제나 모든 사람을 존중한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으며, 모든 인간은 존귀하고 존엄하다는 의미에서 항상 존경하고 존중해야 한다는 스토리의 주인공이란 점이다. 인간존중, 평등 등에 관한 전문적인 용어는 사용되고 있지 않지만, 평범한 이야기와 메타포를 통해 독자에게 전하고자 하는 내용을 충분히 밝히고 있다. 인간은 누구나, 어떠한 형태의 모습이나 삶을 영위하고 있더라도, 그 내면에 불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존경해야만 한다고 주장한다. 이 품에서는 그런 내용을 ‘인간은 누구나 깨달아 부처가 될 존재’로 표현하고 있다. 이러한 경전의 내용에 대해 중국을 대표하는 법화사상가들은 불성론에 입각해 이해하고자 했다. 천태는 삼인불성론에 입각해 상불경보살의 보살행을 이해하고 있다. 정인, 연인, 요인불성에 의거한 설명이다. 길장은 수기를 주는 행태는 불성이 있다는 전제 속에서 가능하다는 점에 주목한다. 그 역시 불성론에 입각해 이 품을 이해하고 있다. 규기 역시 불성론에 의거해 이 품을 이해하고 있지만, 요인불성에 의거해 개개인의 수행과 노력을 중시한다. 이 품에서 나타난 상불경보살의 활동은 인간의 존엄성을 극대화하고 있다는 점에서 현대적인 의의가 크다고 본다. 특히 세계인권선언문의 내용과 대비해 보면, 양자에 상통하는 사상이 대략 2천여 년 이전에 이미 선언되고 있었다는 점에 주목하지 않을 수 없다. 다만 이러한 사상을 현실 속에서 구체화시키지 못한 것은 불교사의 왜곡 현상이며, 중국불교사의 한계로 이해할 수밖에 없다. 그렇지만 여전히 이러한 사상을 어떻게 현실 속에 구현할 것인가에 대해서는 불교계의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This paper aims at investigating the 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humanitarian ideal in terms of the Buddha Nature Theory. This chapter does not mention the terms such as equality, respecting personality, love so on which are used for presenting humanitarian characters in modern society but the title of this chapter(常不輕) means that it presents the meaning of ‘He always respects everyone’ and humans should be respected and have dignity. The Sutra maintains that any human beings have Buddha’s nature and they should be respected and the chapter of the Sutra describes that everyone will be become buddhas. Chinese commentators of this Sutra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chapter of the Sutra in terms of the theory of Buddha Nature. The Tiantai Order comprehends the acts of the Bodhisattva in terms of the theory of ‘Samin Buddha Nature’, namely 1. Jungin Buddha Nature, 2. Yeonin Buddha Nature, 3. Yoin Buddha Nature. Jizang(吉藏) notices that it could be possible to receive verbal promise of being buddhas only when he has Buddha’s Nature. Another commentator, Kuiji(窺基) emphasizes personal practice and effort based on the Yoin Buddha Nature. The activities of the Sangbulkyung Bodhisattva have significant meaning in terms of maximizing human dignity. In particular, it would be worthy of notice that the Bodhisattva’s cause corresponds to the purpose of the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The cause of the Bodhisattva should be materialized in modern society even though it was not realized and limited in the history of Chinese Buddhism.

저자
  • 차차석(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 Cha cha seuk (Dongbang Culture Grauate University)
  • 권미경(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학과) | Kwon Mi-Kyung(Kyungmoon) (Dongbang Culture Grauate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