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DMZ내 북한도발 및 남북무력충돌 분석 : 6·25전쟁∼1970년대를 중심으로 KCI 등재

Analysis of North Korean Provocation and inter-Korean Armed Conflict in the DMZ : Focusing from the Korean War to 1970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175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600원
한국과 국제사회 (Korea and Global Affairs)
한국정치사회연구소 (Korea Institute of Politics and Society)
초록

DMZ가 생성된 이래 북한의 도발 및 남북무력충돌이 발생해 남북간 군사적 긴장이 가장 높았던 시기가 바로 1960∼70년대였다. 정전협정 체결 후 1960∼70년대 북한 무력도발은 ①남조선혁명의 일환으로 획책, ②체제결속의 강화 차원에서 지속, ③남북분단 고통의 심화·확대의 초래 등의 특징을 갖고 있다. 북한의 대남전략 및 무력도발이 주는 시사점은 ①북한의 위장평화공세에 대한 철저한 대비, ②북한의 어떤 무력적화도 발에 대해서도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안보능력 강화, ③통일지상주의 및 근거 없는 낙관론의 지양, ④북한의 변화를 위한 점진적·단계론적 접근의 추진 등으로 요약해 볼 수 있다. 우리의 국방은 항상 최악의 상황 까지도 대비할 수 있어야 한다. 우리는 언제라도 북한의 무력도발을 억제하고 유사시 안정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자조적·공조적 국방안보능력 강화에 최선의 노력을 다해야 할 것이다.

Since the creation of the DMZ, the highest level of military tension between the two Koreas was in the 1960s and 1970s due to North Korean provocations and the occurrence of inter-Korean military clashes. After the signing of the Korean War Armistice Agreement, North Korea's military provocations in the 1960s and 1970s are characterized by ①planning as part of the South Korean Revolution, ②continuing to strengthen system solidarity, ③deepening and expanding inter-Korean division pain. The implications of North Korea's strategy and armed provocation against South Korea can be summarized as ①thorough preparation for North Korea's disguised peace offensive, ②strengthening security capabilities to flexibly respond to any armed provocation, ③avoiding groundless unification groundism and optimism, ④promoting a gradual and step-by-step approach to North Korea's change. Our defense should always be able to prepare for the worst. We should do our best to strengthen our self-help and cooperative defense security capabilities to suppress North Korea's armed provocations at any time and cope stably in case of an emergency.

목차
논문요약
I. 서론
II. DMZ의 개념과 범위
    1. DMZ의 개념 및 의의
    2. DMZ의 범위
III. 정전협정∼1970년대 DMZ내 북한도발 및 남북무력충돌의 전개
    1. 북한의 대남침투·국지도발 개요
    2. DMZ내 북한도발 및 남북무력충돌 분석
IV. 북한도발 및 남북무력충돌의 특징과 시사점
    1. 북한의 무력도발의 특징
    2. 시사점
V. 결론
<참고문헌>
저자
  • 김강녕(조화정치연구원) | Kim Kang-nyeong (Institute of Global Harmon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