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레지날드 마쉬(Reginald Marsh)의 벌레스크 여성 이미지 연구

Reginald Marsh`s Burlesque Female Image Stud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196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200원
미술사문화비평 (Art History, Culture, Critique)
미술사문화비평학회 (Association of Art History, Culture & Critique)
초록

본 논문은 레지날드 마쉬(Reginald Marsh, 1898~1954)의 벌레스크 작품을 중심으로 여성 이미지에 관한 연구이다. 마쉬는 14번가 화파(Fourteenth Street School)의 예술가들과 함께 일하는 남녀, 중산층 쇼핑객, 상인 등 하층민에게 관심을 가졌다. 마쉬는 거리의 실업자, 부랑자들을 적나라하게 보여주기도 했으나, 하층민들의 세련되지 않은 상점과 유흥 거리를 관찰하여 영화관, 유원지, 백화점, 나이트클럽, 벌레스크 극장들을 주제로 스케치 작업에 집중했다. 마쉬는 벌레스크의 여성들을 전통적인 예술작품에서 찬양의 대상인 미의 여신 이미지로 투영하거나 여성들을 기괴한 모습으로 표현하기도 한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마쉬의 벌레스크 이미지에서 보이는 양가적 특성을 1920∼1930년대 사회·문화의 쟁점과 연결하여 살펴보았다. 마쉬가 벌레스크 댄서와 이상적 미의 대상인 비너스와 동일시한 시도는 문화적 평 준화를 추구한 방식이었다. 더불어, 회화 속 신체 표현, 윤곽선, 부드러운 형태, 전체의 화면 구성은 고전주의 형식적 관심을 작품에 실현한 것이다. 한편 마쉬의 벌레스크 이미지에서는 ‘그로테스크한 몸’은 두려움과 불쾌함을 유발할 수 있지만, 이상적이고 완결의 이미지를 보여주는 ‘고전적 몸(classical body)’과 대조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그리고 마쉬에게 하층민의 즐거움을 분출하는 벌레스크는 가장 상업적인 카니발이었다. 이러한 표현에서 마쉬가 그 여성들에게 가졌던 양가적인 감정을 읽을 수 있고, 더 나아가 마쉬가 당시 사회를 바라보는 긍정과 비판의 양가적 관점을 엿볼 수 있다. 마쉬는 동시대 사회·문화에 대한 의식과 예술적 신념을 벌레스크 이미지에 적극적으로 표명했으며, 대중문화의 시각적 이미지를 순수 미술의 소재로 사용하여 예술의 지평을 넓히려 한 미술가로 평가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image of women, focusing on the works of Reginald Marsh (1898-1954). Marsh was interested in the lower class, including men and women, middle-class shoppers, and merchants working with artists at Fourteen Street School. Marsh also showed the unemployed and vagrants on the streets, but focused on sketching under the theme of movie theaters, amusement parks, department stores, nightclubs, and burlesque theaters by observing the unsophisticated shops and entertainment streets of the lower class. Marsh projects women of Burlesque into images of goddesses of beauty, which are objects of praise, in traditional artworks, or expresses women in bizarre forms. Therefore, in this paper, the ambivalent characteristics seen in Marsh's "Burlesque Image" were examined in connection with social and cultural issues in the 1920s and 1930s. Marsh's attempt to identify with the burlesque dancer and Venus, the ideal object of beauty, was a way of pursuing cultural equalization. In addition, the body expression, contour, soft form, and overall screen composition in the painting realize the formal interest of classicalism in the work. Meanwhile, in Marsh's "Burlesque Image," "the grotesque body" can cause fear and displeasure, but it can be interpreted as contrasting with the "classical body" that shows an ideal and complete image. And for Marsh, the burlesque, which exudes the joy of the lower class, was the most commercial carnival. In this expression, you can read Marsh's ambivalent feelings toward the women, and furthermore, you can get a glimpse of Marsh's ambivalent view of positive and critical views of society at the time. Marsh actively expressed consciousness and artistic beliefs about contemporary society and culture in the image of burlesque, and could be evaluated as an artist who tried to expand the horizon of art by using the visual image of popular culture as a subject of pure art.

목차
Ⅰ. 머리말
Ⅱ. 버라이어티 쇼의 유행
Ⅲ. 대중문화 속 미의 여신
Ⅳ. 그로테스크 몸
Ⅴ.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
  • 오지언(숙명여자대학교) | Jieon Oh (Sookmyung Women`s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