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교사의 다문화교육 운영 경험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KCI 등재

Qualitative Meta-Synthesis of Teachers' Multicultural Education Management Practic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2170
  • DOIhttps://doi.org/10.26734/JFE.2022.12.01.0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300원
미래교육연구 (The Journal of Future Education)
한국미래교육학회 (The Korea Association of Future Edcation)
초록

다문화가정 학생 교육 지원 정책이 시행된 지 년이 15 지났다. 그 동안 각급 학교에서는 교사를 주축으 로 다문화교육이 시행되었고, 많은 시행착오들이 있었다. 이러한 시행착오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새로 운 시사점을 얻기 위해 본 연구는 학교에서 다문화교육을 실제로 운영하는 교사들의 경험에 주목하여 다 문화교육 운영 실천 사례를 대상으로 질적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메타분석의 대상으로 분석된 논문은 교사들이 다문화교육 운영 주체로서 실천과정에서 인식하는 문제점과 어려움, 발전 가능성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질적 메타분석 연구를 통해서 질적연구가 가지는 개별연구에 내제된 다양한 한계점을 종합적인 분석틀로 해결하고 보다 일반화되고 확정적인 결과로 새로운 해석 가능성을 도출하고 자 하였다. 교사들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경험을 중심으로 한 연구들은 대부분 교사의 다문화학생에 대한 경험 및 인식, 다문화교육프로그램 운영, 다문화교육 실행에 따른 효과, 다문화교육 실행의 어려움 등을 밝히고 추후 학교 다문화교육에 대한 방향제시를 위해 실행되었다. 결론적으로 교사들은 다문화교육 운영 에 있어서 업무과중을 다문화교육 운영의 가장 큰 어려움으로 꼽았고, 그 외에 운영에 있어 체계성 없는 다문화교육 시스템으로 인한 다양한 정보 부족, 인근학교 및 교사의 협조부족 등의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국, 체계화되지 못한 다문화교육은 정보와 자원 부족으로 드러났고, 이로 인해 교사들은 전 문성을 기르기 위해 독자적인 노력을 기울이게 되었다. 책임감에서 오는 이러한 노력들은 다시 또 교사들 의 업무를 과중하게 하는 결과를 낳았다. 이에 체계적인 다문화교육 시스템 도입이 요구되어 진다. 그 중 에서도 초보교사도 쉽게 활용가능한 다문화교육 가이드 라인 제공이 가장 시급하게 필요할 것으로 보인 다.

This study conducted qualitative meta-synthesis on the experiences of teachers actually operating multicultural education in schools. The thesis analyzed as the object of meta-analysis was conducted with interest in the problems, difficulties, and development potential in the overall curriculum that teachers perceive in the practice process as the subject of multicultural education management. Through the qualitative meta-synthesis study, various limitations inherent in individual studies of qualitative studies were solved with a comprehensive analysis frame, and a new possibility of interpretation was derived with more generalized and definitive results. Most of the studies focusing on the experiences of teachers' multicultural education revealed 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teachers about multicultural students, the opera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s, the effects of implementing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he difficulty of implementing multicultural education. It was later implemented to suggest direction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in schools. This study analyzed the difficulties of teachers in practicing multicultural education. Most of the papers to be analyzed used case study methods, and phenomenological studies and narrative inquiry existed on one side. In conclusion, teachers pointed out the heavy duty of multicultural education as the biggest difficulty in operating multicultural education. In addition, there are problems such as lack of various information due to the unsystematic multicultural education system in operation and lack of cooperation between neighboring schools and fellow teachers. Eventually, the unstructured multicultural education was revealed as a lack of information and resources, which led teachers to make independent efforts to develop expertise. Therefore, it was analyzed that the introduction of a systematic multicultural education system was urgent. Among them, the introduction of the guideline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which can be easily used by novice teachers, is urgently needed.

목차
Ⅰ. 서 론
Ⅱ. 학교 다문화교육 운영 및 실천
Ⅲ. 연구 방법
    1. 질적 메타분석
    2. 연구분석절차 및 대상
Ⅳ. 연구결과
    1. 분석 대상 연구의 기본 정보
    2. 교사의 다문화교육 실천의 어려움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
  • 김효선(경기대학교 진성애교양대학 초빙교수) | Hyosun, K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