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혼합교육 만족도 제고를 위한 연구 -코로나19 시대 수업 질 관리를 위한 수도권 S대학의 운영방안을 중심으로 KCI 등재

A Study to Improve Satisfaction in Blended Learning - Focused on New Methods of S-University for Quality Control in the Era of COVID-19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217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000원
미래교육연구 (The Journal of Future Education)
한국미래교육학회 (The Korea Association of Future Edcation)
초록

코로나19는 우리나라 고등교육이 지향하던 미래교육에로의 변화를 앞당겨 경험하게 만들었다. 이론 교 과목 수업은 대부분 온라인으로 운영되었고 실험·실습·실기 교과목은 수강인원을 최소화하여 대면수업을 실시했으며 이론과 실습이 혼재된 교과목 수업은 두 가지 방법을 병행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대변혁 의 과정에서 대학교육 정책 수립 및 교육과정 운영자들의 관심이 혼합수업 만족도 제고 방안 모색에 집중 되고 있다. 수도권 S대학에서 교육 정책 및 운영 등 대학교육의 수업 질 관리 차원에서 교육혁신을 주도했던 관련 자들의 포괄적 업무수행이 연구의 기반이 되었다. 코로나19 이후 확대된 대학 자율권을 바탕으로 새로운 정책의 입안과 실행 그리고 평가 과정을 통해서 유의미한 성과가 확인되었고, 그 성과는 통계적으로 검증 되었다. 수도권 S대학에서는 학생 디지털학습역량과 학생-교수 간 상호작용이 수업만족도와 관련이 있다 는 것을 확인한 후 이러한 변수를 통제한 상태에서 수업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새로운 변인을 탐색하였다. 본 연구는 수도권 S대학의 각 교과목 유형별로 학생들의 디지털 학습역량과 학생-교수 간 상호작용을 통제한 상황에서 대학의 두 가지 운영방안이 혼합수업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검증하였다. 첫 번째 방안은 각 학생이 수강하지 않는 교과목에 관한 강의동영상을 활용하여 스스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었고, 두 번째 방안은 기 실시된 대면수업을 정리·요약한 수업요약 동영상을 제작하여 수강생들에게 제공하는 것이었다. 연구결과 이론, 이론+실습, 실험·실습·실기 등 모든 범주의 교과목 유형에서 두 방안 은 수업만족도에 대하여 유의미한 관련성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다만 세 가지 수업형태별 범주에 따라서 새로운 수업 운영방안의 수업만족도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가 일치하진 않았다. 고등교육에서 혼합교육 시대의 수업만족도를 제고할 수 있는 또 다른 변인을 찾는 후속 연구가 지속되 어야 한다.

COVID-19 has forced tremendous changes in university education. Since the outbreak of COVID-19, the proportion of online education has been strengthened. In the process of revolution, the interest of university education officials is focused on finding ways to improve the satisfaction of Blended Learning. The work performance of those involved in educational innovation at S-University loc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in terms of quality management became the basis of this study. Based on the expanded university autonomy after COVID-19, the results of the new method were confirmed, and the results were statistically verified. Previous studies have emphasized interaction as an important factor influencing the success or failure of online learning. First of all, it was confirmed that student digital learning competency and student-faculty interaction were also related to class satisfaction in S University. Then, while controlling these variables, the correlation of new methods affecting class satisfaction was explored. The first method was to allow each student to learn on their own by using lecture videos about subjects they did not take. The second method was to produce a class summary video summarizing the face-to-face class and provide it to the student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both methods had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respect to class satisfaction in all categories of subject types. However, according to the three class types,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new class management method for class satisfaction was not consistent. In the era of Blended Education, follow-up studies to find another variable that can improve higher education class satisfaction should be continued.

목차
Ⅰ. 서 론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3. 용어의 정의
Ⅱ. 이론적 배경
    1. 디지털 학습역량
    2. 상호작용
    3. 혼합수업(Blended Learning)
    4. 수업만족도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도구
    3. 자료 분석
Ⅳ. 연구결과
    1. 이론 교과목에서 S대학교의 운영지침이 혼합수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2. 이론+실습 교과목에서 S대학교의 운영지침이 혼합수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3. 실험· 실습· 실기 교과목에서 S대학교의 운영지침이 혼합수업 만족도에미치는 영향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
  • 민원표(신한대학교 리나시타교양대학 조교수) | Won-Pyo, M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