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중학교 자유학년제의 독도교육 발전 방안1 KCI 등재

A study on the development plan of Dokdo education in the middle school free grade system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2284
  • DOIhttps://doi.org/10.31347/dokdo.2021.0.31.331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독도연구 (The Journal of Dokdo)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Dokdo Research Institute)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자유학년제에서 독도교육 현황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자유학년 제에서 효과적인 독도교육 방향을 제안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제2장 자유학년제의 독도교육 현황에서는 자유학년제의 독도교육 실태와 한계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제3장 자유학년제의 독도교육 방향에서는 자유학년제의 독도교육 특징과 개선점 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유학년제의 독도교육 실태는 주제선택 활동에서 교사 수준의 교과 연계 수업 사례와 학교 수준의 범교과 연계 프로젝트 수업 사례, 진로탐색활동에서 독도체험관 중심의 독도교육 프로그램 운영 사례, 동아리활동에서 기존 독 도교육 동아리인 독도지킴이 활동 사례로 나타났다. 자유학년제의 독도교육 한계는 주제선택 활동에서 자유학년제의 취지와 방향에 적합한 수업 설계‧운영의 어려움, 진로체험활동에서 자유학년제 학생 대상의 차별화된 프로그램의 부재, 단기간의 일회성 프로그램 운영, 기관 연 계 프로그램의 부재, 동아리활동에서 교육과정 연계 동아리의 부재, 지역사회 연계 동아리의 부재로 나타났다. 둘째, 자유학년제의 독도교육 특징은 수업 혁신을 통한 영토에 대한 지식과 이해의 교육 강화, 다양한 경험을 통한 영토로부터의 자각과 체험의 교육 강화, 공동체 활동을 통한 영토를 위한 행동과 실천의 교육 강화로 나타났다. 자유학년제의 독도교육 개선점은 확 대 시행의 관점에서 자유학년제의 독도교육 정책 수립, 체계화의 관점에서 자유학년제의 독 도교육 핵심역량 설정, 차별화의 관점에서 자유학년제의 독도교육 수업(프로그램) 내용 개발, 지속화의 관점에서 자유학년제의 독도교육 수업(프로그램) 방법 개발, 활성화의 관점에서 자 유학년제의 독도교육 인프라 구축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effective direction of Dokdo education in the free grade system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of Dokdo education in the middle school free grade system. In the current status of Dokdo education in the free grade system, the actual conditions and limitations of Dokdo education in the free grade system were discussed. Based on these discussions, the characteristics and improvement plans of Dokdo education in the free grade system were presen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urrent status of Dokdo education in the free grade system was found to be the case of individual subject-related classes and school-level project classes in the topic selection activity, the operation of the Dokdo Experience Center-centered program in the career exploration activity, and the Dokdo Keeper-centered activity in the club activities. The limitations of Dokdo education in the free grade system are the difficulty in designing and operating classes suitable for the purpose and direction of the free grade system in the topic selection activity, the absence of a differentiated program in the free grade system, a one-time program centered on events, and linkages with institutions in the career experience activity, absence of programs linkage with curriculum, and lack of community-linke d clubs in club activities were found. Second, the characteristics of Dokdo education in the free grade system are the reinforcement of education of knowledge and understanding of the territory through class innovation, the reinforcement of education of awareness and experience from the territory through various experiences, and the reinforcement of education of action and practice for the territory through comm unity activities. The plans of improvement of Dokdo education in the free grade system are the establishment of policies for extended implementation, the setting of core competencies for systematization, the development of the class(program) contents for Differentiation, the development of the class(program) methods for persistence, and the establishment of infrastructure for activation.

목차
1. 머리말
2. 자유학년제의 독도교육 현황
    2.1. 독도교육 특징
    2.2. 자유학년제 특징
    2.3. 자유학년제의 독도교육 실태와 한계
3. 자유학년제의 독도교육 방향
    3.1. 자유학년제의 독도교육 특성
    3.2. 자유학년제의 독도교육 개선 방안
4. 맺음말
【참고문헌】
저자
  • 강경리(동서대학교 민석교양대학 조교수) | Kang, Kyunglee
같은 권호 다른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