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현실과 가상현실에서 시야각이 자기중심적 거리지각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Effect of Field of View on Egocentric Distance Perception in Real and Virtual Environmen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229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감성과학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한국감성과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 Sensibility)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현실, 가상현실에서 시야각 수준을 세분화하여 지각된 거리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가상현실조건 제시에 현실조건 환경을 모방한 복제품을 사용하여 두 관찰조건을 동등하게 구성하였다.
시야각 조작을 위해 현실조건에서 시야각을 제한하는 안경을 사용하였고, 가상현실조건에서 HMD를 통해 현실과
동등한 방법으로 시야각을 제한함으로써 두 관찰조건에서 시야각 수준을 동일하게 조작하였다. 실험에 참여한 성인
18명은 현실, 가상현실 각 관찰조건에서 머리 움직임을 제한한 후 조건에 따라 상이한 제한된 시야로 대상을 관찰하
였다. 이후 참가자들은 정신적으로 대상까지 걷는데 소요된 시간을 측정하는 상상보행 측정방법을 통해 지각된 거리
를 보고하였다. 대상은 3 m, 4 m, 5 m 거리에 제시되었으며 각 거리수준마다 3회 반복측정 하였다. 측정한 시간
측정치는 거리로 환산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 가상현실조건의 거리추정치는 현실조건보다 작았다. 또한
시야각 수준이 감소함에 따라 거리추정치가 감소하였다. 현실조건에서 거리추정치는 시야각 수준에 따라 달라지지

The purpose of the research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field of view on egocentric distance perception in the real and virtual environment. The replica that mimicked the real environment condition was used to create the virtual environment condition. We manipulated field of view levels equally in both viewing conditions using glasses that limit the field of view in real-world conditions and limiting the field of view in virtual-world conditions in a manner equivalent to real-world conditions via HMD. Eighteen participants observed the target with a limited field of view in a real and virtual environment without head movement. Then, we measured perceived distance using the timed imagined walking method, which measures the time taken by each participant to mentally walk to the target. The target was shown three times at three different distances from the participants: 3, 4, and 5 m. For the analysis, we converted time estimates into distance estimates. Consequently, the estimated distance in the virtual environment condition was less than the estimated distance in the real environment condition. And as the field of view shrank, the estimated distance also decreased. The estimated distance did not vary with field of view levels in real-world conditions. In the virtual environment, the estimated distance decreased as the field of view decreased, whereas in the real environment, the estimated distance increased. The implications of the results and some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discussed below.않았다. 그러나 가상현실조건에서 거리추정치는 시야각 수준이 감소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논의에서 본
실험결과와 시사점, 한계점 및 추후 연구 방향에 대해 제시하였다.

목차
1. 서론
2. 실험
    2.1. 방법
    2.2. 결과
3. 논의
REFERENCES
저자
  • 진승재(광운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산업심리학과 석사과정) | Seungjae Jin
  • 김신우(광운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산업심리학과 정교수) | Shinwoo Kim
  • 이형철(광운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산업심리학과 정교수) | Hyung-Chul O. Li Corresponding auth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