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한글 글꼴의 세리프 및 네모틀 여부에 따른 친숙성과 선호도 KCI 등재

Familiarity and Preference on Korean Typefaces by Serif and Square-Fram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229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감성과학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한국감성과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 Sensibility)
초록

한글 글꼴의 눈에 띄는 특성에는 세리프 및 네모틀 여부가 있다. 꺾임 또는 삐침으로 장식된 글꼴은 세리프(serif)로 분류되 며, 이러한 장식이 없는 글꼴은 산세리프(san-serif)로 분류된다. 반면 네모틀은 알파벳 글꼴에는 없는 특징 범주이며, 가상의 사각형 안에 자, 모음, 그리고 받침이 조화를 이루는 특징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오랫동안 광범위하게 사용되어 온 세리프와 네모틀 글꼴 특성을 보유한 글꼴이 그렇지 않은 글꼴보다 친숙성과 선호도가 높을 것을 가정했다. 이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한글 팬그램을 사용한 네모틀 및 탈네모틀 글꼴 그리고 세리프 및 산세리프 글꼴을 제시해 해당 네모틀 및 세리프 유무에 따른 친숙성과 선호도를 조사했다. 그 결과 참가자들은 탈네모틀 글꼴에 비해 네모틀 글꼴에 대해 친숙성과 선호도를 모두 높게 평가했으나 세리프와 산세리프 사이에 이러한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더 나아가 친숙성과 선호도 사이의 정적 상관은 탈네모틀 세리프 글꼴에 대해서만 관찰되었다. 이 결과는 네모틀의 특징을 보유한 한글 글꼴이 그렇지 않은 글꼴에 비해 더 친숙하고 선호될 가능성을 의미한다. 특히 본 연구는 한글 글꼴 사용자들에 있어서 익숙하고 편안한 글꼴로 네모틀 글꼴이 권장되며, 더 나아가 세리프를 동반한 네모틀 글꼴이 사용될 경우 이러한 긍정적 감성이 향상될 가능성을 시사한다.

Korean typefaces are characterized on two axes: a font is either serifed or non-serifed, and it is either
square-frame or non-squared. A serifed font entails small strokes that are regularly attached to the ends of larger
strokes. Conversely, fonts without these marks are termed sans-serif. One of the exclusive features of Korean
typeface of the square-frame type is that in such fonts, vowels and consonants often with their final vowels, are
harmonically placed within the boundaries of the virtual square. We hypothesize that serifed and squared-frame
typefaces are more popular and preferred owing to their widespread use throughout history. A survey incorporating
Korean pangrams written with serif, sans-serif, squared, and non-squared typefaces was designed to test the present
hypothesis. We found that people typically preferred and were more familiar with squared typefaces compared to
non-squared typefaces. However, no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serifed and san-serif typefaces. Furthermore,
a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familiarity and preference ratings only where the typefaces had squared
and serifed features. The results revealed that Korean typefaces with the squared feature were more well-known
and, therefore, more preferred to the typefaces without it. The results further indicated that Korean typefaces with
the squared feature can be recommended for people’s familiarity to it and the comfort it provides, and their
emotional relevance and sensibility enhanced if serifs are added.

목차
1. 서론
2. 연구방법
    2.1. 연구 개요
    2.2. 글꼴 자극
    2.3. 참가자
    2.4 연구 도구 및 절차
3. 연구 결과
    3.1. 분산 분석 결과
    3.2. 상관 분석 결과
4.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저자
  • 이하은(중앙대학교 심리학과 석사과정) | Haeun Lee
  • 현주석(중앙대학교 심리학과 교수) | Joo-Seok Hyun Corresponding auth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