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 for nurturing beauty service talents in the post-corona era (focusing on skin care) KCI 등재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뷰티서비스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 연구 (피부미용을 중심으로)

  • 언어ENG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239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구 한국유화학회)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KSAST))
초록

본 연구는 코로나 시대이후로 가속화된 뷰티분야의 4차 산업들과 융합으로 산업에서 요구되는 실무능력을 교육하기 위한 교육과정 개발을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여러 문헌의 탐색적 조사와 전문가의견 을 수렴한 결과 뷰티산업은 앞으로 단일 아이템 또는 서비스 제공이 아닌 의료, 바이오, ICT, 인공지능 기 술 등이 결합된 개인맞춤형 서비스 제공 산업으로 분야가 확장될 것으로 분석되었다. 분석 내용을 바탕으 로 전통적인 뷰티산업에서 요구하는 기본 직무 능력 외에 갖추어야 할 디지털 활용능력을 추가하여 교육과 정을 구성하고 과목을 도출하였다. 코로나 이후의 시대는 4차 산업혁명을 기반으로 다양한 산업의 변화를 가져올 것이며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여 뷰티산업의 발전과 지속가능성을 위한 인재 개발을 위해 대학에서 는 산업의 변화에 항상 주목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a curriculum to educate the practical skills required in the industry by convergence with the 4th industry in the beauty field, which has been accelerated since the Corona era. As a result of an exploratory investigation of several literatures and collecting expert opinions, it was analyzed that the field of beauty industry will expand to a personalized service providing industry that combines medical, bio, ICT, and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ies, rather than providing a single item or service. Based on the analysis contents, the curriculum was composed and subjects were derived by adding digital application skills to have in addition to the basic job skills required in the traditional beauty industry. The post-Corona era will bring changes in various industries based o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in response to these changes, universities should always pay attention to changes in the industry to develop talent for the development and sustainability of the beauty industry.

목차
요 약
Abstract
1. Introduction
2. Research method
3. Literature review
    3.1.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Service Industry
    3.2. Beauty industrial environment
    3.3. Current status and prospects ofhuman resources in the field ofbeauty services
    3.4. Analysis of the needs of beautyrelatedindustries
4. Result and Discussion
    4.1. Post-Corona Beauty Human ResourcesDefinition
    4.2. Setting job model and deriving subjects
5. Conclusion
References
저자
  • Hyo-Jeong Son(유한대학교 의료뷰티학과, 교수) | 손효정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