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VR 활용 피부미용 교과목 인식과 개발에 관한 연구 KCI 등재

A Study on the Recognition and Development of Skin Care Subjects Using VR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239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구 한국유화학회)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KSAST))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들의 VR에 대한 의식을 바탕으로 VR을 활용한 피부미용 교과목 개발을 위한 교육환경을 확보하고자, 총 105명의 학습자들의 VR에 대한 인식, VR의 체험요소, VR활용 피부미용 교과목 개발 인식, 일반적 특성에 관한 문항을 온라인 설문지를 이용하여 진행하였다. 빈도분석, 요인분석, 상관관계 분석을 통한 조사결과, VR에 대한 인지도가 높을수록 교육적 성과와 몰입도가 높을 것으로 (p<.01), 학력이 높을수록 VR 활용 피부미용 체험요소인 일탈성, 인지성, 관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p<.001). 상관관계에서는 VR이용 스킨케어 경험요인이 높을수록 VR 활용 피부미용 교과목 개발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습자의 기대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부합하는 VR을 활용한 피부미용 교 과목 개발과 교육이 빠르게 운영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후속 연구에서는 VR 활용 피부미용 교과목 개발과 운영 후의 연구 진행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In this study, in order to secure an educational environment for the development of skin beauty subjects using VR based on the learners' awareness of VR, a total of 105 learners' perception of VR, VR experience elements, and the development of VR-using skin beauty subjects , questions about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conducted using an online questionnaire. As a result of the survey through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the higher the awareness of VR, the higher the educational performance and immersion (p<.01). It was found that awareness and interest were high (p<.001). As for the correlation, the higher the VR-using skin care experience factor,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VR-using skin beauty course development.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educate skin beauty subjects using VR in line withlearners' expectations and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Therefore, in follow-up studies, it is considered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operate VR-based skin beauty subjects.

목차
요 약
Abstract
1. 서 론
2. 이론적 배경
    2.1. VR 개념
    2.2. VR의 교육적 효과
3. 연구내용 및 방법
    3.1. 연구대상
    3.2. 측정도구의 구성
    3.3. 자료 분석 방법
4. 결과 및 고찰
    4.1. 연구대상과 일반적 특징
    4.2. 측정도구의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4.3. VR에 대한 인식, VR 활용 피부미용 체험요소, VR 활용 피부미용 교과목 개발 인식의 상관관계
    4.4. 고찰
5. 결 론
References
저자
  • 이정희(광주여자대학교 미용과학과, 조교수) | Jung-Hee Lee (Kwangju Women's University, Dept. of Beauty Science, Graduate School)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