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전기 방사를 이용한 고분자/금속산화물 복합소재 기반의 투명전극 제조 및 특성 분석 KCI 등재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ransparent electrode based on polymer/metal oxide composite via electrospinning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240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구 한국유화학회)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KSAST))
초록

본 연구는 나노섬유를 제조하는데 빠르고 효과적인 전기방사법을 이용하여 PVA(Polyvinyl alcohol)와 AgNO3를 혼합하여 제조한 용액을 금속산화물 기반 나노 섬유로 이루어진 투명 전극을 제조하고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PVA/AgNO3 혼합 용액을 전기방사법을 이용하여 유리기판 위에 나노 섬유 구조체 형태로 방사하여 250 ℃에서 2 시간 동안 열처리 과정을 통해 전기 전도성이 향상된 은 나노 섬유 기반 투명 전극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투명전극은 four-point probe 장비를 이용하여 전기적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UV - Vis spectrophotometer 를 이용하여 제조된 투명전극의 투과도를 확인하였다. 또한,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과 Energy Dispersive Spectrometer(EDS)를 통해 은 나노 섬유의 표면 특성과 성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분석들을 통해, 전기 방사 시간에 따른 면 저항과 투과도의 최적화된 조건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은 나노 섬유로 이루어진 투명 전극은 전기적, 광학적, 기계적 특성이 우수하여 태양전지, 디스플레이, 터치스크린과 같은 차세대 유연 디스플레이에 적용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We have confirmed that optimized transmittance and surface resistance by electrospinning time, also the fabricated transparent electrode composed of silver nanofiber with excellent electrical, optical and mechanical performances is showed applicability to next generation flexible displays such as solar cells, displays, and touch screens. → We have confirmed the optimized transmittance and surface resistance by electrospinning time Also the fabricated transparent electrode composed of silver nanofiber with excellent electrical, optical and mechanical performances showed applicability to next generation flexible displays such as solar cells, displays, and touch screens.

목차
요 약
Abstract
1. 서 론
2. 실 험
    2.1. 실험 재료
    2.2. 전기방사 용액 제조
    2.3. 전기방사공정
    2.4. 열처리
    2.5. 은 나노 섬유의 표면 및 물리적 특성 분석
3. 결과 및 고찰
    3.1.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Energy Dispersive Spectrometer (EDS)
    3.2. 광학적 특성
    3.3. 전기 방사 시간에 따른 전기적 특성 비교분석
4. 결 론
References
저자
  • 강혜주(대진대학교 에너지공학부, 대학원생) | Hye Ju Kang (Division of Energy Engineering, Daejin University, 1007 Hoguk Road, Pocheon-si, Gyeonggi-do, 487-711, Korea)
  • 정현택(대진대학교 에너지공학부, 교수) | Hyeon Taek Jeong (Division of Energy Engineering, Daejin University, 1007 Hoguk Road, Pocheon-si, Gyeonggi-do, 487-711, Korea)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