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Neuronal Mechanisms that Regulate Vitellogenesis in the Fruit Fly KCI 등재

노랑초파리 난황형성과정 제어 신경 메커니즘

  • 언어ENG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284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응용곤충학회지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한국응용곤충학회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초록

난황형성과정(Vitellogenesis)은 발달하는 난모세포에 난황이 축적되는 과정으로, 이 과정의 개시는 알형성과정(oogenesis)을 제어하는 주 요 메커니즘이다. 곤충생리학 모델인 노랑초파리(Drosophila melanogaster)에서 난황형성과정은 성충으로 우화한 직후 시작하여 성적 성숙이 일어 나는 2-3일간 지속된다. 성숙한 난모세포가 충분히 만들어지고 성적 성숙이 종료되면, 짝짓기 후 알형성과정이 다시 시작될 때까지 난황형성과정은 멈춘다. 수컷 초파리의 정액 단백질인 성 펩타이드(Sex peptide, SP)는 짝짓기의 신호로서 알라타체(corpora allata)를 자극해 유약호르몬 (Juvenile hormone, JH) 생합성 및 분비를 유도하며, 혈림프(hemolymph) JH 농도의 증가는 난황형성과정을 자극한다. 최근 연구 결과에 따르 면, SP수용체 뉴런은 자궁 내막의 수상돌기를 통해 교미 중 정액과 함께 자궁으로 전달된 SP를 감지함으로써, 축삭돌기를 통해 중추신경계인 복부 신경절에 짝짓기 신호를 보내는데, 이러한 중추신경계 SP 신호가 JH 생합성 및 분비, 그리고 난황형성과정을 유도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짝짓기 후 암컷에서의 난황형성과정은 일주기 리듬을 보이는데, 노랑초파리의 일주기 리듬은 중추 신경계 뉴런들에 의해 제어된다. 본 종설은 성적 성숙, 짝짓기 신호, 그리고 일주기 리듬에 따라 난황형성과정을 제어하는 신경 메커니즘에 관한 최근 연구 성과를 다룬다.

Vitellogenesis is the process by which yolk accumulates in developing oocytes. The initiation of vitellogenesis represents an important control point in oogenesis. When females of the model insect Drosophila melanogaster molt to become adults, their ovaries lack mature vitellogenic oocytes, only producing them after reproductive maturation. After maturation, vitellogenesis stops until a mating signal re-activates it. Juvenile hormone (JH) from the endocrine organ known as the corpora allata (CA) is the major insect gonadotropin that stimulates vitellogenesis, and the seminal protein sex peptide (SP) has long been implicated as a mating signal that stimulates JH biosynthesis. In this review, we discuss our new findings that explain how the nervous system gates JH biosynthesis and vitellogenesis associated with reproductive maturation and the SP-induced post-mating response. Mated females exhibit diurnal rhythmicity in oogenesis. A subset of brain circadian pacemaker neurons produce Allatostatin C (AstC) to generate a circadian oogenesis rhythm by indirectly regulating JH and vitellogenesis through the brain insulin-producing cells. We also discuss genetic evidence that supports this model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목차
ABSTRACT
초 록
Vitellogenesis during Reproductive Maturation
Post-mating Vitellogenesis
Generating the Circadian VitellogenesisRhythm
Future Research Directions
Literature Cited
저자
  • Young-Joon Kim(광주과학기술원 생명과학부) | 김영준 Corresponding author
  • Chen Zhang(광주과학기술원 생명과학부) | 장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