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The Effect of Smartphone Dependency of Teenagers on Life Satisfaction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Friendship KCI 등재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친구관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291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700원
사회적질연구 (Korean Journal of Social Quality)
한국사회적질학회 (Korean Association on Social Quality)
초록

본 연구는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친구관계의 매개효과를 통해 살펴보 았다. 연구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CYPS 2018)에 응답한 전국 2590명의 중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기술통계, 상관분석, 위계회귀분석 및 매개영향분석 분석방법을 실시했다. 연구결과 첫째, 기술통계 분석결과 삶의 만족도의 평균값이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과 친구관계보다 낮게 나타났다. 둘째, 독립변수 인 청소년 스마트폰 의존도, 매개변수인 친구관계, 종속변수인 삶의 만족도 간에 정적(+) 상관성이 나타났 고 유의한 통계값이 나왔다. 셋째,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이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 고, 친구관계가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기존의 대다수 선행연구와는 달리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과 삶의 만족도가 정적(+) 영향 관계에 있다는 것은 적지 않은 함의가 있다고 본다. 즉 단순히 청소년들의 스마트폰 사용을 억제하기보다는 스마트폰이 가진 순기능에 주목해 볼 필요가 있다고 본다. 이 에 본 연구는, 청소년의 대인관계(친구관계)를 강화할 수 있는 방편의 하나로 스마트폰 사용의 순기능을 활용할 수 있는 청소년복지 프로그램 및 정책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verified the impact of teenagers’ smartphone dependency on life satisfaction by looking at friendship as a medium. For this study, the data of 2,590 middle school students nationwide, who responded to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2018), were used. The analysis methods used were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mediation effect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showed that the average value of life satisfaction was lower than that of teenagers’ smartphone dependency and friendship. Second, there was a positive (+) correlation between the independent variable, teenagers’ smartphone dependency, the parameter, friendship, and the dependent variables, life satisfaction, which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it was found that friendship plays a partial mediating role as teenagers’ smartphone dependency affects life satisfaction.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social welfare practice programs and policies that can reduce teenagers’ dependency on smartphones and strengthen friendship, the mai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mong adolescents.

목차
ABSTRACT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1. 청소년 스마트폰 의존과 친구관계
    2. 청소년 삶의 만족도와 스마트폰 의존
    3. 청소년의 친구관계와 삶의 만족도
Ⅲ. 연구방법
    1. 연구모형
    2. 연구대상
    3. 조사도구
Ⅳ. 연구결과
    1. 기술통계 분석
    2. 상관관계 분석
    3. 매개 회귀 분석
    4. 가설 검증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
  • Park, Bum-ki(서울사회복지대학원대학교 평생교육원 교수) | 박범기 Corresponding author
  • Kang, Eun-whee(호호발달연구소 소장) | 강은희
  • Seo, Koung-won(한국사회보장정보원) | 서경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