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조직사회화, 직무배태성, 이직의도의 관계- 전문가지향성의 역할 - KCI 등재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Job Embeddedness and Turnover Intention - The Role of Professional Orientation -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3217
  • DOIhttps://doi.org/10.14396/jhrmr.2022.29.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500원
인적자원관리연구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Research)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Korean Academy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초록

조직사회화의 내용은 다른 차원에 비해 연구가 시도된 비율이 낮은 만큼 아직 살펴볼 수 없던 가능성 에 더욱 주목해야 한다. 특히 개인의 내면적인 영역에서 조직을 이해하는 사회화가 형성되지 않으면 적응 이라는 요인은 만들어질 수 없다. 나아가 소속된 조직에서 이직의도는 배태된다는 개념의 본질과 프로세 스 역할을 통해 보다 체계적인 예방이 가능하다. 이에 본 연구는 자원보존이론을 토대로 조직사회화 내용 과 직무배태성 그리고 이직의도를 연결짓는 하나의 프레임을 설계하였다. 그러한 이 후 모형을 설명하는 범위를 확장시키기 위해 전문성 높은 경력 지향성이 반영된 상호작용 효과를 규명하였다.본 연구는 제시한 가설의 실증 분석을 위해 시차 분리가 도입된 직장인 358명에 대한 설문 자료를 활용 하였다. 결과에 따르면 조직사회화의 내용으로 목표와 가치 및 수행 효율성은 직무배태성에 정적인 영향 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직무배태성은 이직의도에 대한 부적인 영향과 더불어 조직사회화의 내 용 사이에서 완전매개 역할을 하는 것이 검증되었다. 또한 전문가지향성이 높은 수준일수록 이직의도에 대한 직무배태성의 부적인 영향이 강화되는 조절효과가 확인되었다. 그리하여 모형의 중심이 되는 배태 성을 통한 메커니즘과 경력에서 전문가를 지향하는 관점이 만들어낸 경영학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It is needed to pay more attention to the content of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and its possibilities that have not yet been looked at because related research has been attempted much less than that of other dimensions. Especially, the adaptation factor can not be created without socialization to understand an organization from the inner side of an individual. In addition, turnover intention shall be prevented more systematically by understanding the nature of the concept embedded and its process. Therefore, based on Conservation of Resource Theory this study designed a model that connects the content of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job embeddedness and turnover intention. And it also identified their interaction effects that reflect professional career orientation in order to extend the scope of description of the model. For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hypothesis suggested, this study used the survey data for 358 office workers to whom time lag was applied.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goals and values and performance proficiency of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have positive effects on job embeddedness. And job embeddedness has a negative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and it serves as a complete mediator among the contents of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In addition, a moderation effect has been confirmed: the higher the professional orientation, the stronger negative effects of job embeddedness on turnover intention. Therefore, the mechanism using job embeddedness which is the center of the model and management implications originated from professional-oriented perspectives shall be suggested.

목차
국문초록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1. 조직사회화와 직무배태성
    2. 직무배태성과 이직의도
    3. 직무배태성의 매개효과
    4. 전문가지향성의 역할
    5. 연구의 모형
Ⅲ. 연구방법 및 측정
    1. 연구대상
    2. 변수의 측정
Ⅳ. 분석결과
    1. 타당성과 신뢰성
    2. 상관관계분석
    3. 주 효과 및 매개효과 가설검증
    4. 조절효과 가설검증
Ⅴ. 결론 및 토의
    1. 연구결과의 요약
    2. 연구의 시사점
    3. 한계점 및 향후 연구과제
참 고 문 헌
Abstract
저자
  • 신승인(충북대학교 경영학 박사) | Shin Seung 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