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성폭력사범에 대한 글쓰기 치료프로그램의 효과성에 대한 연구: 비대면 글쓰기의 조절 효과 KCI 등재

A Novel Approach of Psychological Treatment Program on COVID19-Related Sex Offender: Non-face-to-face Writing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377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100원
矯正硏究 (교정연구)
한국교정학회 (Korean Society For Correction Service)
초록

본 연구는 코로나19 사태로 대면 접촉을 기피하는 가운데 심리치료가 필요한 고위 험 성폭력사범에 대해 비대면으로도 실시가 가능한 글쓰기가 성폭력사범 치료에 효과 적인지 확인하였다. 성폭력사범이 치료프로그램에 대해 느끼는 심리적 불편감을 줄임 으로써 이들의 낮은 프로그램 반응성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한지 확인하기 위한 목적 으로 실험연구를 수행하였다. 전국 교정 심리치료센터에서 치료 중인 고위험 성폭력 사범 중 선발된 32명을 대상으로 55회기의 비대면 글쓰기 및 집단상담 치료를 진행하 였다. 그 결과, 비대면 글쓰기는 강간통념을 감소시키고, 사건 및 자서전적 기억을 다 루는 모듈에서 심리적 불편감을 완화하는 조절적인 역할을 함으로써 성폭력사범의 프 로그램 반응성을 증가시켰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길어지는 팬데믹 상황에서도 치료가 필수적인 성폭력 사범들에게 필요한 부분이 무엇인지를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confirm whether writing, which can be conducted non-face-to-face for high-risk sex offenders who need psychological treatment, is effective in treating sex offenders and moderates low program responsiveness by reducing negative emotional response. 55 sessions of non-face-to-face writing and group counseling treatment were conducted respectively, for 32 selected among high-risk sex offenders being treated at correctional treatment centers nationwide. Non-face-to-face writing reduced rape myths and increased the program responsiveness by doing a moderating function in decreasing negative emotional response in modules dealing with criminal events and autobiographical memor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what is necessary for sex offenders who need treatment even in prolonged pandemic.

목차
국문요약
Ⅰ. 서 론
Ⅱ. 글쓰기 치료프로그램
    1. 성폭력사범의 낮은 프로그램 반응성
    2. 외상으로서의 성폭력사범의 사건 및 자서전적 기억
    3. 성폭력사범 치료로서의 글쓰기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절차
    3. 비대면 글쓰기 치료프로그램
    4. 측정도구
    5. 분석방법
Ⅳ. 연구결과
    1. 인구통계학적 특성
    2.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사전 동질성 검증
    3. 조작점검 측정치
    4. 집단 간 차이
Ⅴ. 논 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정여경(중앙대학교 심리학과 박사과정) | Chung YeoKyung (Ph.D. Course, Department of Psychology, Chung-Ang University)
  • 송남옥(아주대학교 교육학과 박사수료, 교정본부 심리치료과 교감) | Song NamOk (Ph.D. Candidate, Department of Education, Ajou University& Assistant director of psychological treatment division at Korea Correctional Service headquarters)
  • 이장한(중앙대학교 심리학과 교수) | Lee JangHan (Professor, Department of Psychology, Chung-Ang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