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부여 서북부 지역 석재 환경 조사 KCI 등재

The survey of stone materials’ environment in the northwestern part of Buyeo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399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000원
韓國靑銅器學報 (한국청동기학보)
한국청동기학회 (Society for Korean Bronze Culture)
초록

선사시대 사회상을 설명할 수 있는 유력한 자료로서 석기 석재 연구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 지기 시작한 것은 2000년대 이후이다. 그때부터 석재 동정과 석재 산지 분석 결과 등이 발굴 보고서 에 포함되기 시작하였으나, 지질학 전공자에 의한 초기의 연구가 고고학 전공자의 자체적인 연구로까 지 이어지지는 못하였다. 그에 더해 발굴 보고서에 석재 동정 결과마저 언급되지 않는 경우도 점차 증 가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에는 비파괴 분석, 육안관찰 등에 의존해야 하는 석기 석재 동정의 오류 가 능성, 연구자에 따른 동정의 차이 등 연구 첫 단계인 석재 동정부터 여러 문제점이 있다는 것에 그 요인이 있을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대안의 하나로 석재 환경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대상 지역은 상대적으로 청동기시대의 유적이 다수 발견되고 산지에서 저지로 흐르는 하천이 여럿 위치하는 등 고고학적, 지 형적 조건을 고려하여 부여 서북부 지역을 선정하였다. 석재 환경 조사는 ‘1. 조사 대상 지역 선정 → 2. 조사 지역 내 유적 출토 석기 석재의 현황 파악 → 3. 지질도 등을 통한 지질 환경 파악 및 석 재 채집 지점 선정 → 4. 현지 석재 채집 → 5. 채집 석재 동정 → 6. 석기 석재와의 비교 검토’의 순서로 진행되었으며, 총 10개 지점에서 석재를 채집하여 석재 동정 및 주변 지역 출토 석기 석재와 비교 검토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석재 환경 조사는 유적 주변에서 채집된 석재를 기준으로 유적 출토 석기 석재를 동정하기 위한 작업으로, 석재 연구에 있어 가장 문제가 되는 석재 동정에 하나의 유효한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Since 2000, there has been a growing awareness on the need to examine stone materials used in stoneware to understand prehistoric society. Around that time, identification of stone materials and an analysis on stone materials’ place of origin began to be included in excavation reports. However, preliminary research conducted by geologists did not develop into research by archaeologists. Increasingly, the identification results of stone materials were not mentioned in excavation report. This is probably due to several reasons including a possibility of inaccurate identification of stone materials due to reliance on non-destructive inspection and naked-eye observation, and difference in identification results by researchers. The most important task is to secure credibility of identification for stone materials. As one of the possible solutions to this task, we surveyed an environment for stone materials. We chose the northwestern part of Buyeo as a survey site, considering its archaeological and geographical conditions including that many remains from the Bronze Age have been found and that there are several streams running from mountainous region to lowlands. The survey has been done in the following stages: 1. selection of survey site → 2. examination of current state of stone materials used in stoneware excavated in the site → 3. inspection of geological environment based on geological map and selection of spots to collect stone materials → 4. collection of stone materials → 5. identification of collected stone materials → comparison with stone materials used in stoneware. Stone materials were collected from a total of 10 spots to be identified and compared with stone materials used in stoneware excavated in the surrounding areas. The survey of stone materials’ environment is a preliminary work for identification of stoneware excavated in historical sites by comparing them to stone materials found in the vicinity. As such, it can be an effective way of identifying stone materials, which is one of the largest barriers in research on stone materials.

목차
요약
Ⅰ. 들어가며
Ⅱ. 석기 석재 연구의 현황과 문제점
Ⅲ. 부여 서북부 지역의 석재 환경 조사
    1. 조사 대상 지역 선정
    2. 유적 출토 석기 석재의 파악
    3. 지질도 등을 통한 지질 환경 파악 및 석재 채집 지점 선정
    4. 현지 조사 - 석재 채집
    5. 채집 석재의 동정
    6. 유적 출토 석기 석재와의 비교
Ⅳ. 석재 환경 조사의 필요성과 한계
    1. 석재 환경 조사의 필요성
    2. 석재 환경 조사 방법론의 정립 필요
    3. 연구 기초 자료로서의 석재 동정
    4. 석재 환경 조사에서의 자연과학적 분석
Ⅴ. 맺음말
참고문헌
저자
  • 이기성(한국전통문화대학교 융합고고학과, 교수) | Yi, Kisung (Professor,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 성민주(한국전통문화대학교 대학원, 석사과정생) | Sung, Minjoo (Graduate student,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