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네이버후드 효과와 학업성취도의 공간적 격차: 다수준 모델링 접근 KCI 등재

Neighborhood Effects and Spatial Inequality in Educational Achievement: A Multilevel Modeling Approach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4416
  • DOIhttps://doi.org/10.16879/jkca.2022.22.1.01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200원
한국지도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Cartographic Association)
한국지도학회 (The Korean Cartographic Association)
초록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네이버후드 효과 연구가 가지는 방법론적 이슈를 고려한 실증적인 방법을 적용하여, 학생들의 학업성 취도에 대한 네이버후드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 목적의 달성을 위하여 개인-학교-네이버후드 3수준의 다수준 모형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초모형을 통해 학생들의 수능 점수에 대한 수준별 영향력을 확인한 결과, 개인, 학교, 네이버후드 순으로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네이버후드 효과의 정도는 과목별로 다소간의 차이가 있었는데, 국어에 비해 영어 점수에 대한 네이버후드 효과가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모형 3을 통해 지역별 네이버후드 효과를 살펴본 결과, 대부분의 지역에서 이전 모형에 비해 네이버후드 효과의 정도가 감소하였다. 그러나 양천구, 강남구 등 일부 학교군에 서는 여전히 높은 네이버후드 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그동안 논쟁이 되어왔던 네이버후드 효과에 대해 실증적인 분석을 통해 정량적인 수치를 제시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이러한 결과는 학업성취도의 공간적 격차와 관련하여 교육정책의 방향을 결정하는 데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article examines neighborhood effects from a perspective on the geography of education, in the context of growing attentiveness paid to spatial approaches to educational issues. In particular, spatially differentiated academic achievements are analyzed in the study. To that end, a multi-level modeling involving individual, school, and neighborhood levels is employed. As a result, two major findings are found. First, it is found in an analysis on neighborhood effects that the individual level has the highest influence on students’ academic performance, which is followed by school and neighborhood levels in order. Meanwhile, different neighborhood effects are observed among different school subjects, such that in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CSAT) Korean Section and English Section have 3.6% and 5.6% ICC – which quantifies neighborhood effects – respectively. Second, the degree of neighborhood effects tend to decrease in most regions as analysis moves from model 0 to 3, but some regions still have higher neighborhood effects than others. These findings have significant education policy implications because they help understand spatial inequality in education with quantifiable evidence.

목차
요약
Abstract
I.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II. 이론적 배경
    1. 네이버후드 효과
    2. 다수준 모형
III. 분석자료 및 방법
    1. 분석자료
    2. 다수준 모형의 명세화
IV. 분석결과
    1. 기초모형 분석 결과
    2. 모형 1 분석 결과
    3. 모형 2 분석 결과
    4. 모형 3 분석 결과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
  • 이소영(충북대학교 교육혁신본부 초빙교수) | Soyoung Lee (Visiting Assistant Professor, Office of Educational Innovation,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