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초등학교 3, 4학년 체육교과서에 담긴 무용 활동 창의성 교육 내용분석 KCI 등재

Analysis of Dance Activities Creativity Education Contents Contained in Physical Education Textbooks for 3rd and 4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459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800원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구 한국유화학회)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KSAST))
초록

이 연구는 초등학교 3, 4학년 체육교과서 무용 활동의 창의성 교육 내용을 분석하기위해 수행되 었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 3, 4학년 체육과 검정교과서 16종과 보조자료를 수집하였으며 4P 모형에 기반 한 체육교과서 창의성 교육 내용분석틀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진실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전문가 협의를 운영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창의적 사람 관점에서 창의적 심성에서는 ‘탐구심’이 가장 많았으며 나머지 요소들은 비교적 골고루 나타났다. 활동 주체는 ‘개인’과 ‘동료(팀)’가 비 슷한 빈도를 보였다. 둘째, 창의적 과정 관점에서 활동 영역은 모두 ‘학습’으로 나타났고 활동 목적은 대부 분의 요소들이 골고루 나타났으며 창의적 과정이 활용되는 모습이 탐색되었다. 셋째, 창의적 산출물 관점 에서 활동 방식은 신체활동수행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2~3개의 활동 방식이 함께 쓰이고 있었다. 창의 성 요소는 모든 요소가 골고루 나타난 가운데 민감성과 정교성이 4개로 가장 많았다. 넷째, 창의적 환경 관 점에서 활동 공간은 제약 없음이 대부분이었으며 활동 매체는 신체를 활용한 교육 내용이 많았다. 이 연구 를 통하여 무용 활동의 창의성 교육이 양적으로 확대되고 질적으로 심화되어야 함이 요구되었고 무용 활동 의 창의성 교육 내용이 타영역으로 확산되어야 할 필요성이 탐색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creativity education contents of dance activities in physical education textbooks for the 3rd and 4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 For this purpose, 16 types of textbooks and auxiliary data for physical education in the 3rd and 4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 were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the creative education content analysis frame of the physical education textbook based on the 4P model. In order to secure the integrity of the research, expert consultation was opera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rom the viewpoint of creative person, 'inquiry' was the most common in creative mind, and the rest of the elements appeared relatively evenly. As for the subject of activity, ‘individual’ and ‘colleague (team)’ showed similar frequencies. Second, from the viewpoint of the creative process, all activity areas appeared as 'learning', and most of the elements of the activity purpose appeared evenly, and the creative process was explored. Third, from the viewpoint of creative output, physical activity performance was the most common activity method, and two or three activity methods were used together. In the creativity factor, all factors appeared evenly, and sensitivity and sophistication were the most common with 4 factors. Fourth, from the viewpoint of the creative environment, most of the activity spaces were no restrictions, and the activity media consisted of many educational contents using the body. Through this study, it was requested that creativity education in dance activities should be expanded quantitatively and intensified in quality, and the necessity of spreading creativity education contents of dance activities to other areas was explored.

목차
요 약
Abstract
1. 서 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의 목적
2. 연구방법
    2.1. 연구설계
    2.2.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방법
    2.3. 연구도구
    2.4. 자료분석
3. 연구결과
    3.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3.2. 대상자의 생활 스트레스, 식습관 및 식행동정도
    3.3. 일반적 특성에 따른 생활 스트레스, 식습관및 식행동과의 차이
    3.4. 생활 스트레스, 식습관 및 식행동과의상관관계
    3.5. 식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4. 논 의
5.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저자
  • 장병권(동광초등학교, 교사) | Byung-Kweon Chang (Dong-gwang Elementary School, Teacher)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