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칼 융의 심리학 사상에 나타난 만다라 속성 연구 KCI 등재

Properties of Mandala observed in analytical psycholog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518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7,000원
문화와예술연구 (문화와예술연구 (문화예술연구))
초록

본 논문에서는 칼 융의 분석심리학의 만다라 개념과 종교에 서의 만다라의 개념을 비교 정리하고 양자의 내재적 가치와 치 유적 메카니즘을 탐구하였다. 만다라는 원래 종교적 개념으로서, 인도 라마교, 불교 밀종의 중요한 관상 법문이었다. 시대와 종교의 발전에 따라 만다라 역시 다양한 형태의 변천을 거치며 현대에는 주로 두루마리 그 림과 같은 불화로 널리 알려져 있다. 종교적 개념에서 만다라는 어떤 형태의 만다라든지 보호, 응 집, 연결, 청결한 사상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동양적인 불교 회화 형식은 동양문화를 중심으로 하는 철학사상을 담고 있으 며, 특히 현재 가장 널리 전해지고 있는 티베트 만다라는 그 형식적 구성에 있어 중국 본토의 도가 사상도 많이 내포하고 있다. 스위스의 심리학자 칼 융(Carl Gustav Jung)은 만다라 양식 이 서로 다른 문화적 배경에서 인류에게 공유되는 일종의 심령 적인 상징모형으로 집단 무의식의 원형임을 스스로 체험하고 임상적으로 증명했다. 그가 '만다라(mandala)'라는 용어를 택한 것은 동양의 라마교(lamaism)와 밀종 요가(tantric yoga)에서 제사권이나 마법의 형태로 명상에 도움이 되는 도구로 사용했 기 때문이다. 만다라 개념은 분석심리학에 인용돼 자성(自性)의 상징적 표 현이 됐다. 융은 만다라 양식의 문양을 끊임없이 그리면서 내 면의 혼란스럽고 무질서한 무의식이 직관적이며 의식화되는 것 을 확인하였고, 자신의 심리적인 위기를 잘 극복하고 자기통합 과 자기치유의 효과를 거둘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융은 만다라 그림이 현대미술치료에서 적용될 수 있는 이론적 토대를 마련 했다. 본고는 불교의 밀종 만다라를 연구 대상으로 하여 동양의 만다라 기원과 전파 발전을 살펴보고, 만다라 도식 형성을 통해 동양 문화의 내면을 분석하였다. 중국 도가사상을 융합한 티베 트의 만다라는 가장 아름다운 만다라 형식으로 알려져 있으며, 융의 분석심리학에서 자성(self)의 최고 표현으로 손꼽히고 있 다. 동양의 종교 및 심리학 치료에서 만다라의 개념을 비교·분 석하여 융의 분석심리학에서의 동양의 문화에 대한 의의와 상 징성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만다라의 내면화 작용을 통해 서로 다른 두 분야에서의 치유 메카니즘을 분석했다. 본 논문 은 융의 심리학의 만다라와 종교의 만다라의 개념, 이론 및 비 교 정리를 바탕으로 동양문화의 시각에서 분석심리학에 관한 개념을 깊이 이해하고 설명함으로써, 분석심리학의 발전과 응 용에 긍정적인 의의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한다.

This paper compares and summarizes the concepts of Mandala in Jungian analytical psychology and the religion, and explores the intrinsic value and healing mechanism of both two. At first, Mandala was the religious concept, which was an important conception of Indian Lamaism and Tantric Buddhism. With the development of the era and the religion, Mandala has experienced different forms of evolution. Nowadays, it is known to be the form of Thangka and other Buddhist paintings in modern times. In the religion, believers pursue for the highest state of spiritual practice with the medium of Mandala. As for any form of Mandala in the religious concepts, it has the imagery of protection, cohesion, connection and purification. This form of Buddhist paintings with oriental characteristics contains philosophical thoughts as the mother body of the Eastern culture. Especially for the most widely spread Tibetan Mandala, its form and composition also contain many local Chinese Taoist thoughts. Through self-experience and clinical evidence, Swiss psychologist Carl Jung has discovered that Mandala patterns are a kind of spiritual symbol model and collective unconscious prototype shared by human beings in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s. The reason why he has chosen the term “Mandala” is that Mandala is in the form of sacrificial circles or magic circles and is used as a tool to contribute to the meditation in Eastern Lamaism and Tantric yoga. Through this medium, human spirit will be brought back to the inner sacred realm and the process contains the unity of life and consciousness. The concept of Mandala has been introduced into the analytical psychology and becomes the symbolic expression of “Self”. Through self-practice, Jung has discovered that Mandala-style patterns are the medium of individual unconscious and spontaneous creative activities. The chaotic unconsciousness can be conscious visual expression and the effects of self-integration and self-healing at the psychological level can be achieved by continuously repeatedly drawing these Mandala-style patterns. Jung himself has smoothly gotten through his psychological crisis by drawing these patterns and provided a theoretical basis for the application of Mandala painting in modern art therapy. This paper takes the Buddhist Tantric Mandala as research object, whose oriental origin, transmission and development, especially for the formation of its pictures, contain the Eastern culture and meanings. Considered by Jung to be the most beautiful form of the Tibetan Mandala, it integrates Chinese local Taoism and represents the highest expression of “Self” in Jungian analytical psychology. This paper compares the concepts of Mandala in Eastern religion and psychological therapy to understand the Eastern cultural imagery in Jungian analytical psychology. Finally, it analyzes the healing mechanism in two different fields through the internalization of Mandala. Through combing and comparing the theoretical concepts of Mandala in the Jungian psychology and the religion, this paper aims to hav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and illumination about relevant concepts of the analytical psycholog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oriental culture, and provide positive significance for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analytical psychology in the East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만다라의 의의와 배경
    1. 동양 만다라의 기원과 발전
    2. 탄트라 만다라 도식과 동양문화
Ⅲ. 만다라와 칼 융의 심리학
    1. 칼 융의 음영(陰影)법
    2. 만다라 기법과 개성화
    3. 칼 융 심리학의 만다라와 불교 탄트라의 만다라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陳晨(심양대학교 강사) | Chen Chen (Lecturer, Shenyang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