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청소년 운동선수의 생애목표와 목표중심 자기조절의 관계 KCI 등재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Goal and Goal-focused Self-regulation in Youth Athlet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5221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KJSP))
한국스포츠심리학회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목표내용이론을 바탕으로 청소년 운동선수들이 일생동안 추구하고자 하는 생애목표의 내용을 확 인하고 나아가 생애목표가 자기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여 학생선수 코칭과 상담에 유용한 정보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현재 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18개 개인 및 단체종목 남, 여 운동선수 347 명을 대상으로 인터넷 설문과 직접 현장조사 방식을 병행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요인분석, 다변량 분산분석 및 중다회귀분석 방법 등을 활용해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청소년 운동선수의 생애목표는 내재적 목표 3유 형(개인적 성장과 건강, 관계, 기여)과 외재적 목표 3유형(물질, 명예와 인기, 이미지)으로 수렴되었다. 둘째, 청소 년 운동선수들은 내재적 목표를 상대적으로 더욱 중요하게 인식하였고, 내재적 및 외재적 목표내용은 성별, 학교 급(중⋅고), 종목유형(개인⋅단체), 지각된 운동 유능감 수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생애목표 내용 은 동기적 특성인 목표중심 자기조절력을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특히 내재적 생애목표들의 영향력이 컸다. 결론: 이러한 결과는 학생선수의 생애목표 내용과 생애목표의 동기적 특성에 대한 기초적 정보를 제공함에 따라 운동이 나 학업 적응을 위한 심리상담과 스포츠 코칭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Purpose: Based on the goal content theor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coaching and counseling youth athletes by confirming the content of life goals that youth athletes want to pursue throughout their lives and verifying the effect of life goals on self-regulation. Methods: For this, data were collected from 347 male and female athletes in 18 individual and group sports currently attending middle and high schools through internet surveys and field surveys,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using factor analysis,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methods. Results: First, the life goals of youth athletes were converged into three types of intrinsic goals (growth & health, relationship, and contribution) and three types of extrinsic goals (material, honor & popularity, and image). Second, youth athletes perceived intrinsic goals as relatively more important,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trinsic and extrinsic goals according to gender, school level (middle and high school), sport type (individual and group), and perceived athletic competence. Third, the life goal content significantly predicted goal-focused self-regulation, which is a motivational characteristic. In particular, the influence of intrinsic life goals was great. Conclusion: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help psychological counseling and sports coaching for exercise or academic adaptation by providing basic information on the contents of student athletes' life goals and the motivational characteristics of their life goals.

목차
I. 서 론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 도구
    3. 연구절차
    4. 자료분석
Ⅲ. 연구 결과
    1. 청소년 운동선수의 생애목표 내용
    2. 목표중심 자기조절 profile
    3. 생애목표와 목표중심 자기조절의 관계
Ⅳ. 논 의
참고문헌
저자
  • 성창훈(인천대학교 스포츠과학연구소) | Changhoon Seong (Incheon National University Sport Science Institute)
  • 박상희(인천대학교 스포츠과학연구소) | Sanghee Park (Incheon National University Sport Science Institute)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