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5・18 광주 민주항쟁의 재일동포와 재외동포사회로 의 확산과정 고찰 KCI 등재

A study on the spread of the 5.18 Gwangju Democratic Uprising to Japanese-Koreans and overseas Korean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527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300원
한국과 국제사회 (Korea and Global Affairs)
한국정치사회연구소 (Korea Institute of Politics and Society)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1980년 5・18 광주민주화운동을 전후하여 일본을 중심으로 해외에서의 언론 보도확산과 반향을 고찰하는 데 있다. 연구의 주요 내용은 일본 의 신문과 언론의 보도에 대한 분석, 재일동포 관련 단체의 보도와 반향에 대한 분석, 재외동포단체의 보도와 반향의 순으로 살펴보았다. 연구방법은 일본에서의 5・18 광주 민주항쟁 관련 언론신문, 잡지 등에서 보도확산과 반향에 대하여 자 료를 수집하고 대표적인 논조들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 본의 대표적인 3대 신문인 아사히신문, 요미우리신문, 마이니치신문의 논설을 중 심으로 5・18 광주 민주항쟁에 대하여 살펴본 결과, 유신체제의 계승 반대, 국군 의 무력진압에 따른 국민 불신과 반감 증폭, 폭력적 억압은 문제해결이 될 수 없 고 민중의 요구에 귀를 기울여 사태를 수습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둘째, 재일동 포의 반응에 대해서는 민단은 광주 민주항쟁에 대해 민단 중앙의 입장과 견해를 밝히도록 요구하였다. 총련은 조선 시보를 통해 광주 시민봉기의 진상을 왜곡하여 전두환, 박정희 등을 찬양하려고 시도하는 일본인들에 대해 비판의 날을 세웠다. 셋째, 재외동포의 언론 보도에서는 재미 뉴코리아 타임스의 경우 미국에 대한 환 상에서 벗어나 한민족 스스로 인권과 민주주의 수호 및 통일을 위해 싸워야 한다 고 주장하였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5・18 광주 민주항쟁 관련 그동안의 연구 가 왜 미국 일변도였는지 고찰하고 일본을 중심으로 한 전 세계로의 광주 민주항 쟁 언론 보도와 미디어의 확산을 분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향후 연구에서 는 5・18 이후 시대별, 국가별, 미디어별 논조의 변화, 국가별 반응과 대응, 사회 단체별, 방송 미디어별 보도행태에 대하여 역사적 맥락에서 살펴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pread and repercussions of media coverage abroad, centered on Japan, before and after the May 18th Gwangju Democratization Movement in 1980.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ditorials of Japan's three major newspapers argued that the May 18 Democratization Movement should listen to the people's demands rather than opposing the succession of the Yushin system, increasing public distrust and antipathy due to the armed suppression of the ROK military, and violent oppression. Second, in the response of Koreans in Japan, Mindan demanded that Mindan's central position and views be revealed on the Gwangju Democratic Uprising. Chongryon was critical of the Japanese who tried to praise Chun Doo-hwan and Park Jeong-hee by distorting the truth of the Gwangju uprising through the Joseonsibo. Third, in the case of the New Korea Times, the media of overseas Koreans, they argued that the Korean people should fight for human rights, democracy and reunification themselves, breaking away from their illusions about the United States. In conclus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xamines why the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he May 18 Democratic Uprising were unilateral to the United States and analyzed the spread of media and media coverage around the world, centered on Japan.

목차
논 문 요 약
Ⅰ. 서론
Ⅱ. 재일동포사회와 5・18 광주 민주항쟁의 전개 양상
Ⅲ. 재일동포사회와 재외동포사회의 5・18 광주 민주항쟁언론 보도와 문제 인식
    1. 일본신문의 보도 및 문제 인식
    2. 재일동포 민단과 총련의 언론 보도 및 문제 인식
    3. 전 세계로의 보도확산과 재외동포단체의 문제 인식
Ⅳ.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임영언(조선대학교) | Yim Young-eon (Chosun University)
  • 허성태(조선대학교) | Heo Seong-Tae (Chosun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 전호성(강남대학교) | Jun Ho-sung (Kangnam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