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한국어능력시험 교재에 나타난 성 고정관념 분석 -듣기 영역을 중심으로-

The study of appearing in Textbooks of TOPIK Analysis of Gender Stereotypes - Focused on the Listening Section -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557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600원
한국어문화교육 (The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and Culture)
한국어문화교육학회 (The Society for the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and Culture)
초록

본고에서는 한국어능력시험 교재의 듣기 영역에 나타난 성 고정 관념을 분석하였다. 기존 연구들의 기준을 참고로 외적ž내적 영역에 대해 분석한 결과, 외모 및 직업에서 일부 성 고정관념이 드러났으나, 독백 텍스 트의 유형별 성별 빈도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발견하지 못했다. 내적 영 역의 경우 독백 텍스트의 성별 발화 주제는 남성 화자의 발화 비중이 높아 비교가 유의미하지 않았으며, 담화 유형의 불균형성에서는 전통적인 남녀 의 심리적 특질이 드러났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는 최근 한국 사회에서 변화의 움직임을 보이는 젠더가 추후 출판될 한국어능력시험 교재가 성 평등한 방향으로 구성되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In this study, the gender stereotypes in the listening section of TOPIK textbooks were analyzed. The external and internal areas were analyzed by referring to the analysis criteria of existing studies. According to this study, some gender stereotypes were revealed in appearance and occupation, but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 found out in the frequency of gender by type of monologue text. In the internal area, the gender utterance topic of monologue text was not significant because the male speaker had a high proportion of speech, and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man and woman were revealed in the imbalance of discourse type. These results are meaningful in that it can help the textbooks for the Korean Language Proficiency Test to be published later in a gender-equal direction.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2.1. 선행연구
    2.2. 성 고정관념
3. 분석 방법
    3.1. 분석 대상 및 범위
    3.2. 분석 기준 및 방법
4. 분석 결과
    4.1. 외적 영역
    4.2. 내적 영역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김윤경(부산외국어대학교) | Kim, Yun-kyung (Busan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