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K-culture의 확장성에 대한 검토 KCI 등재

A Study on the Expansion Possibility of K-cultur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590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8,300원
한국과 세계 (Korea and World Review)
한국국회학회 (Korea Society of Assembly Studies)
초록

민주화 이후 한국의 문화콘텐츠는 민간영역에서 정부의 통제를 벗어나 다양성과 창의성을 가지면서 아시아를 넘어 전 세계로 확장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2000년대 들어 한국의 문화콘텐츠가 글로벌 문화콘텐츠 로 나아가는 과정을 분석하고자 한다. 한국의 문화콘텐츠의 발전과정은 2010년 이전까지의 한류 1기, 2010년 이후 2020년 이전까지의 한류 2 기, 2020년 이후의 한류 3기로 구분할 수 있다. 한류 1기는 아시아에서 K-드라마를 중심으로 한류 열풍을 불게 하였으나 한편으로는 험한류에 직면하기도 하였다. 한류 2기는 전 세계에서 K-팝, K-드라마, K-무비를 중심으로 시작된 한류의 열풍이다. 한류 3기에서 한국의 문화콘텐츠는 세계인들이 함께하는 장르로 인식되면서 세계적인 유통망을 가진 넷플릭 스 등이 한국적 문화콘텐츠의 제작과 유통에 참여하게 하였다. 결과적으 로 한국의 문화콘텐츠는 아시아의 한류를 넘어 세계의 문화콘텐츠로 세 계에 각인되고 있으나 자체적인 제작 여건과 유통망의 한계를 극복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Since democratization, Korean cultural contents have been expanding beyond Asia to the world as they have diversity and creativity beyond the governmental control in the private sector.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analyze the process of Korean cultural contents moving toward global cultural contents in the 2000s. The development process of Korean cultural contents can be divided into the first Hallyu before 2010, the second Hallyu from 2010 to 2020, and the third Hallyu after 2020. The first Hallyu caused the Hallyu craze through K-drama in Asia, but on the other hand, there was a situation that disliked the Hallyu. The second Hallyu is a craze of Hallyu that started around the world with K-pop, K-drama, and K-movie. In the third Hallyu, Korean cultural contents were recognized as a genre shared by people around the world, and Netflix which has a global distribution network, participated in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Korean cultural contents. As a result, Korean cultural contents are recognized as cultural contents of the world beyond Asian Hallyu, but they have the task of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their own production conditions and distribution networks.

목차
논문요약
Ⅰ. 서론
Ⅱ. 선행연구의 검토와 논의모형
    1. 선행연구의 검토
    2. 논의모형
Ⅲ. K-culture의 확장 가능성 논의
    1. 아시아적 K-culture
    2. 세계적 K-Culture
    3. 플랫폼을 통한 글로벌 K-contents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정태일(충북대학교) | Chung Tae-Il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김연회(충북대학교) | Kim Yean-Hoy (Chungbuk National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