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오순절 교회의 통전적인 성령사역 KCI 등재

Pentecostal Church’s Holistic Mission in the Holy Spiri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5917
  • DOIhttps://doi.org/10.14493/ksoms.2022.3.16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400원
선교신학 (Theology of Mission)
한국선교신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ission Studies)
초록

본 연구는 오순절 선교의 통전적인 성령사역의 측면을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성서적 접근으로서 사도행전 1장 8절에 의거한 성령세례와 그리스도의 증인되는 삶의 직접적인 연계를 언급하고, 누가복음 4:18-19을 근거로 그리스도는 성령의 기름 부으심과 메시아적 선포, 구체적으로 가난한 자와 눌린 자, 포로된 자들을 향한 선교적 부르심임 을 논한다. 나아가 오순절 선교의 역사적인 변천을 살펴 보면서, 초기에 는 기사와 이적을 동반한 복음선포가 주를 이루었다가 점차 사회의 상황에 응답하는 통전적 선교로 발전해 사회의 약자들을 향한 적극적인 행동을 포괄함을 논하고자 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과정에서 오순절 선교가 어떻게 오순절 통전적 사역이 성령론에 근거한 이 운동의 독특한 요소들을 보존하며 이시대에 도전할 수 있는 가를 보여주고자 한다.

This study is based on the biblical basis of Pentecostal missions, the direct connection between the baptism of the Holy Spirit and the life of being a witness of Christ based on Acts 1:8, and the anointing of the Holy Spirit and the Messianic proclamation of Christ based on Luke 4:18-19. Specifically, this paper discusses the missionary call to the poor, the oppressed, and the captives. Furthermore, it examines the historical and chronological change of the Pentecostal missions. In the early periods, the proclamation of the gospel accompanied by wonders and miracles was the main focus, but it gradually developed into a holistic mission that responded to social situations and included active actions for the marginalized and weak people. In this process, we discuss how the challenge facing Pentecostal missions lies in how the holistic Pentecostal ministry preserves the unique elements of this movement based on pneumatology.

목차
한글 초록
I. 서론
II. 오순절이 중점을 두는 성경 본문
    1. 증인이 되는 성령세례 (사도행전 1:8, 2:1-12)
    2. 성령의 기름 부으심을 통한 예수님의 사역 (누가복음4:18-19)
III. 성령의 은사
IV. 복음에 대한 응답: 성령의 능력과 사명
V. 가난한 자들과 소외된 자들
VI. 통전적 선교의 예들
    1. 이집트 (Egypt) 고아원 선교
    2. HIV/AIDS 개입 및 관리 그리고 잠비아(Zambia) 거리의아이들을 위한 나자르스 프로젝트 케어(Lazarus ProjectCare)
VII. 회심 후 삶의 변화: 칸카나이 부족(Kankanay tribe)
VIII. 나가는 말
Abstract
저자
  • 조정자(오랄로버츠대학 교수) | Jungja Cho (Oral Roberts University, Intercultural Studies)
같은 권호 다른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