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제조업 남성 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와 피로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KCI 등재후보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Fatigue Symptoms in the Manufacturing Male Worker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657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자연치유연구 (The Journal of Natural Healing)
초록

본 연구는 제조업 남성 근로자들의 직무스트레스와 피로와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대상: 조사대상은 제조업 공장에 근무하는 남성 근로자 352명이었다. 방법: 자료 수집은 2020년 4월 1일부터 5월 31일까지의 기간 동안에 구조화된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한 설문조사에 의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및 Sobel test로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조사대상자의 피로증상은 업무요구도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인 반면, 업무의 자율성, 상자의 지지 및 동료의 지지와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직무스트레스와 피로와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직무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사회적 지지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F=63.93, p<0.01), 피로수준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F=58.64, p<0.01). 직무스트레스를 통제한 상태에서 사회적지지가 피로에 미치는 영향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F=43.83, p<0.01), 이 때 직무스트레스의 β값이 0.352로 매개변수를 거치지 않았을 때의 β값인 0.545보다 작아 사회적지지가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Sobel test 결과에서 사회적 지지는 직무스트레스와 피로의 관계에서 부분적 매개역할을 하였다(Z=-4.15, p<0.01). 결론: 위와 같은 결과는 직장에서의 사회적 지지는 근로자의 피로와 관련 있는 직무스트레스를 완화시키는 매개효과가 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fatigue symptoms of male workers in the manufacturing industries. Subjects: The study subjects were 352 male workers in the manufacturing industries. Methods: The data collection was based on a survey using a structured self-administerd questionnaires during the period from April 1 to May 31, 2020. Results: As a result,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fatigue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job stress, the lower the social support, and the higher the level of fatigue symptoms.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n fatigue while controlling job stress was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at this time, the β value of job stress was 0.352, which was less than the β value of 0.545 when the parameter was not passed, indicating that social support had a mediating effect. In the Sobel test results, social support played a partial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fatigue symptoms. Conclusions: The above results suggest that social support at work plants may have a mediating effect on alleviating job stress related to the fatigue symptoms of workers.

목차
요약
ABSTRACT
서론
조사 대상 및 방법
    1. 조사대상
    2. 조사방법 및 윤리적 배려
    3. 연구에 사용한 변수
연구결과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 조사대상자의 직무스트레스 및 사회적 지지별 피로(MFS) 점수의 비교
    3. 직무스트레스, 사회적지지 및 피로(MFS)간의 상관관계
    4. 직무스트레스와 피로와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고찰
결론
Authorship
References
저자
  • 최창훈(박사과정, 남서울대학교 대학원 휴먼케어학과) | Chang-Hun Choi (Dept. Human Care, Graduate School of Namseoul Univ)
  • 김범호(조교수, 남서울대학교 복지경영대학원 대체치유학과) | Beom-Ho Kim (Dept, Alternative Treatment, Graduate School of Namseoul Univ)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