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간호대학생의 성장마인드셋과 임상실습 감정노동이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The Effects of Growth Mindset and Emotional Labor of Clinical Practice on Nursing Professionalism in Nursing Studen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670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구 한국유화학회)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KSAST))
초록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성장마인드셋과 임상실습 감정노동이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수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G시의 2개 대학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3, 4학년 학생 이며 자료는 2021년 7월부터 9월까지 수집하였다. 자료는 기술적 통계, t-test, ANOVA, Pearson 상관계 수, 통제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성장마인드셋은 간호전문직관(β=.325, p<.001)에 정적인 영향을 나타냈고 임상실습 감정노동은 간호전문직관(β=-.099, p=.161)에 통계적으로 영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연구모형은 간호전문직관을 25.4% 설명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간호대학 생의 간호전문직관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성장마인드셋을 강화시키는 전략들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is a descriptive survey research conducted to confirm the effects of growth mindset and emotional labor of clinical practice on nursing professionalism in nursing students. The subjects are 3rd and 4th grade students who are attending two university nursing departments in city G, and data were collected from July to September 2021.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controlled regression analysi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Growth mindset(β=.325, p<.001) had a positive effect on nursing professionalism. Emotional labor of clinical practice(β=-.099, p=.161) had not statistically a significant effect on nursing professionalism. The study model accounted for 25.4% of nursing professionalism. It suggests that strategies are needed to enhance the growth mindset in order to promote nursing professionalism in nursing students.

목차
요 약
Abstract
1. 서 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목적
2. 연구방법
    2.1. 연구대상
    2.2. 연구도구
    2.3. 자료분석방법
3. 연구결과
    3.1. 대상자의 성장마인드셋, 임상실습감정노동, 간호전문직관 정도
    3.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간호전문직관의 정도
    3.3. 대상자의 성장마인드셋, 임상실습감정노동, 간호전문직관 간 상관관계
    3.4. 대상자의 성장마인드셋과 임상실습 감정노동이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4.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저자
  • 김경하(송원대학교 간호학과, 교수) | Kyoung-Ha Kim (Department of Nursing, Songwon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