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사교육의 잠재력과 가능성의 실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alizing Potential and Possibility of Private Educa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688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600원
사교육연구 (The Journal of Private Tutoring Research)
한국사교육연구협의회 (The Korea Association of Private Tutoring Study)
초록

본 연구는 사교육을 긍정적인 관점에서 탐구하여 사교육의 올바른 정체성과 주체성을 정립하고, 이를 근거로 미래 사 교육의 가능성과 잠재력을 실현할 수 있도록 함을 그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한국 사회에서 사교육은 의도적으로 이미지 화 되었다. 그 이미지화는 부정적인 인식과 문제로 형성되었다. 한국 사회에서 사교육은 필요악이며, 그림자 교육으로 취 급되었다. 그러나 사교육의 부정적 이미지는 교육권력과 학교학자들의 정치적 이념에 의해 만들어진 이미지였다. 공교육 과 사교육은 공간의 경계로 인한 차이이지 차별을 위한 경계 짓기가 아니었다. 사교육은 오히려 교육산업의 발전이라는 관점에서 에지케이션 실현을 위한 공교육보다 더 중요한 교육자본이다. 또한 공교육과 사교육은 에지케이션 실현을 위한 동반자이며, 사교육은 공교육만큼 사회 속에서 존재 가치가 높은 교육의 현상이다. 그러므로 사교육 기관은 사회적 책임 의 수행을 통해 사교육의 정체성과 주체성 정립에 노력해야 한다. 사교육 기관의 사회적 책임은 경제적, 법률적, 윤리적, 자선적 책임 이외에 교육적 책임을 각인하고 성실하게 수행해야 한다. 사교육 기관의 교육적 책임은 교육 원리에 기초한 교육의 질 향상이라는 철학을 바탕으로 교육적 선도력을 갖추어야 한다. 이를 위해 사교육 기관과 종사자들은 넓고 깊은 연구에 매진해야 한다. 반성과 성찰을 통한 사교육의 연구는 미래 한국의 교육산업 발전을 위한 중요한 초성이 됨을 명 심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private education from a positive point of view to establish the right identity and subjectivity of private education, and to realize the possibility and potential of future private education based on this. In Korean society, private education was intentionally imaged. The imaging was formed with negative perceptions and problems. Private education is a necessary evil in Korean society and has been treated as shadow education. However, the negative image of private education was created by educational power and political ideology of schoolism scholars. Public education and private education were differences due to the boundary of space, not the boundary for discrimination. Private education is rather more important than public education to realize edge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development of the educational industry. In addition, public education and private education are partners for realizing edgecation, and private education is a phenomenon of education with high value in society as much as public education. Therefore, private education institutions should strive to establish the identity and subjectivity of private education through the performance of social responsibility. In addition to economic, legal, ethical, and charitable responsibilities, the social responsibility of private education institutions must be imprinted and faithfully performed. The educational responsibility of private education institutions should have educational leadership based on the philosophy of improving the quality of education based on educational principles. To this end, private education institutions and workers should focus on wide and deep research. It should be remembered that the study of private education through reflection will be an important cornerstone for the development of the educational industry in Korea in the future.

목차
국문초록
Ⅰ. 서 론
Ⅱ. 사교육의 이미지화
Ⅲ. 이미지화 된 사교육의 해체(解體)
Ⅳ. 사교육기관의 사회적 책임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최항석(경기대학교 교수) | Hang-Seok Choi (Kyonggi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