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분리막을 이용한 천일염내 불순물 및 미세플라스틱 제거에 관한 연구 KCI 등재

Removal of Harmful Impurities Including Microplastics in Sun-Dried Sea Salt by Membrane Technolog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716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멤브레인 (Membrane Journal)
한국막학회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초록

본 연구에서는 분리막을 이용하여 천일염내 미세플라스틱을 비롯한 불순물을 제거하는 분리막 공정 설계를 위한 연구이다. 천일염 염전에 적합한 분리막 재질, 공경 사이즈, 모듈을 선정하여 다양한 조건에서 실험을 진행하였다. 선정된 200 kDa, 4 kDa 한외여과막 그리고 3 kDa 나노여과막을 선정하였고, 실험은 실험실과 실제 염전에 파일롯 플랜트를 건설하 여 각각 실험하였다. 천일염내 불순물은 대부분 0.1 μm 이상의 크기를 가졌고 크기 분포는 0.1 μm에서 1 μm 사이 입자가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였다. 그리고 성분 분석결과 불순물 내에 7종류 이상의 다양한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되었다. 분리막 공정 이후 여과된 염전수 분석한 결과 미세플라스틱을 포함한 불순물이 검출되지 않았고 기존의 천일염과 분리막 여과수로 제작한 천일염의 성분 비교해본 결과 천일염 성분의 변화 없이 불순물만 효과적으로 제거됨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is aimed to design a membrane process that systematically removes contaminants including microplastics in sun-dried salt using a separation membrane. In this study, we selected the separation membrane material, pore size, and module suitable for the sun-dried salt fields, and proceeded with the experiments under the salt fields and laboratory conditions. A pilot plant was constructed and tested in our lab and in the actual saltern with the selected 200 kDa, 4 kDa ultrafiltration membranes, and 3 kDa nanofiltration membranes. Most of the impurities in the sea salt were 0.1 μm in size, and more than 7 types of various microplastics were detected in the impurities. After that, as a result of checking the filtered water through the separation membrane process, no impurities were detected.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existing sea salt component and the sea salt component prepared with separation membrane filtrate, impurities were effectively removed without change in the sea salt component.

목차
요 약
Abstract
1. 서 론
2. 실 험
    2.1. 분리막 선정
    2.2. 불순물 분석
3. 결과 및 고찰
    3.1. 분리막 선정
    3.2. 불순물 분석
    3.3. 천일염 성분 분석
4. 결 론
감 사
Reference
저자
  • 임시우(한국화학연구원 화학공정연구본부 C1가스⋅탄소융합연구센터, 고려대학교 건축사회환경공학과) | Si-Woo Lim (C1 Gas & Carbon Convergent Research Center, Korea Research Institute of Chemical Technology, Daejeon 34114, Korea, School of Civil, Environmental and Architectural Engineering, Korea University, Seoul 02841, Korea)
  • 서채희(한국화학연구원 화학공정연구본부 C1가스⋅탄소융합연구센터) | Chae-Hee Seo (C1 Gas & Carbon Convergent Research Center, Korea Research Institute of Chemical Technology, Daejeon 34114, Korea)
  • 홍승관(고려대학교 건축사회환경공학과) | Seung-Kwan Hong (School of Civil, Environmental and Architectural Engineering, Korea University, Seoul 02841, Korea)
  • 김정훈(한국화학연구원 화학공정연구본부 C1가스⋅탄소융합연구센터) | Jeong-Hoon Kim (C1 Gas & Carbon Convergent Research Center, Korea Research Institute of Chemical Technology, Daejeon 34114, Korea)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