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장애노인의 장애수용과 성공적 노화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관계망의 매개효과 KCI 등재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and Social Network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sability Acceptance and Successful Aging of the Disabled Elderl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719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400원
한국과 국제사회 (Korea and Global Affairs)
한국정치사회연구소 (Korea Institute of Politics and Society)
초록

본 연구는 장애노인을 대상으로 장애수용과 성공적 노화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과 사회적관계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A시의 65세 이상 장애노인에게 면접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220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1.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 통계분석, 각 변인 간 상관관계분석, 자기효능감과 사회적관계망의 매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수용은 성공적 노화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수용과 성공적 노화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 의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셋째, 장애수용과 성공적 노화의 관계에서 사회적 관계망의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 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장애노인의 장애수용을 높임으로써 성공적 노 화를 촉진할 수 있고, 장애수용 수준이 낮더라도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관계망을 다양한 경로로 활용한다면 성공적 노화를 높일 수 있음을 확인 하였다. 이러한 통합적 경로확인을 바탕으로 장애노인의 성공적 노화를 높일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모색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and social network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ceptance of disability and successful aging of the disabled elderly. For this purpose, a total of 220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nalysis by conducting an interview survey on elderly people with disabilities over 65 years of age in A city.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cceptance of disability has a significant effect on successful aging. Secon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isability acceptance and successful aging. Third,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network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cceptance of disability and successful aging. These results showed that successful aging could be promoted by increasing the acceptance of disability in the elderly with disabilities.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successful aging could be enhanced if the self-efficacy and social network are used in various ways even the elderly with low disability acceptance level. Based on this integrated path identification, various methods were sought to increase the successful aging of the elderly with disabilities.

목차
논문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장애노인
    2. 성공적 노화
    3. 장애수용
    4. 자기효능감
    5. 사회적 관계망
    6. 연구모형 및 연구문제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2. 측정도구
    3. 자료분석방법
Ⅳ. 연구결과
    1. 조사대상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
    2. 주요변수의 기술 통계량
    3. 주요변수 간의 상관관계 분석
    4. 연구모형 검증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조미정(성애노인요양원) | Mi-Jeong Cho (Seongaewon)
  • 길태영(중부대학교) | Tae-young Kil (Joongbu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