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트윈 세일 드론의 성능추정에 관한 연구 KCI 등재

A Study on the Performance Predictions of Twin Sail Dron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723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해양환경안전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and Safety)
해양환경안전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초록

최근 무인선을 활용한 해양 조사가 주목을 받고 있으며, 특히 세일을 이용한 소형 무인 드론에 대한 연구가 고조되고 있다. 세일 드론의 용도는 해양 조사, 감시 및 오염방제 등을 들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트윈 세일을 채용한 드론에 대해 선속을 추정 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항주최적조건을 확인하고 세일드론의 운동성능 및 저항 등 초기설계단계에서 검토해야 할 성능에 대해서 고찰하 고자 하였다. 그 결과, 트윈 세일 드론은 항해속도를 2.0 m/s 이하로 유지하는 편이 유리하며 복원성 또한 DNV에서 규정하는 조건을 충 족시켰다. 또한, TWA 100°일 때 받음각 20°에서 최고속력은 1.69 m/s, TWA 100°일 때 받음각 25°에서 최고속력은 1.74 m/s를 보였다.

Recently, marine surveys using unmanned ships are attracting attention, and research on small unmanned ships using sails is on the rise. Sail drones can be used for marine surveys, monitoring, and pollution management. Therefore, in this study, using the method of estimating the ship speed for twin sail drones, the optimal conditions for sailing are checked, and the performance to be considered in the initial design stage, such as the motion performance and resistance of the sail drone. Consequently, the twin sail drone had a speed lower than 2.0 m/s, and the stability satisfied the rule by DNV. In addition, the maximum speed at an angle of attack of 20° at TWA 100° was 1.69 m/s and that at an angle of attack of 25° at TWA 100° was 1.74 m/s.

목차
요 약
Abstract
1. 서 론
2. 세일 형상 및 연구 방법
    2.1 세일 형상
    2.2 속도추정 개요
    2.3 세일드론의 선체유체력 계산방법
    2.4 세일드론의 복원성 계산방법
    2.5 세일드론의 속도추정 계산방법
3. 결과 및 고찰
    3.1 선체유체력 변화
    3.2 복원성 변화
    3.3 속도추정 계산결과
4. 결 론
사 사
References
저자
  • 류인호(목포해양대학교 기관시스템공학과 박사과정) | In-Ho Ryu (Graduate School of Mokpo National Maritime University, Mokpo 58628, Korea)
  • 양창조(목포해양대학교 기관시스템공학부 교수) | Changjo Yang (Professor, Division of Marine Engineering System, Mokpo National Maritime University, Mokpo 58628, Korea)
  • 한원희(목포해양대학교 기관시스템공학부 교수) | Won-heui Han (Professor, Division of Marine Engineering System, Mokpo National Maritime University, Mokpo 58628, Korea)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