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漢江 下流域 청동기시대 전기 住居의 變異 이해 - 金浦ㆍ仁川지역 유적을 중심으로 - KCI 등재

Understanding the Variation of the Early Bronze Age Dwellings in the Lower Reach of Han River Basin: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Archaeological Sites of Gimpo and Incheon Region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726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8,400원
韓國靑銅器學報 (한국청동기학보)
한국청동기학회 (Society for Korean Bronze Culture)
초록

청동기시대 전기의 방형계 주거지는 당시 사회의 가족 구성의 결과물이며, 그 형태적 변이는 가족 의 발달과정에 기인하는 것으로 이해되기도 한다. 또한, (세)장방형 주거는 복수의 방형(단위)주거가 병렬적으로 연결된 형태이며, 그 단위주거는 핵가족의 주거공간이라는 추정 또한 널리 퍼져 있다. 그러나 많은 연구자들이 장단비가 시간성을 반영한다는 관행적 판단에 기초하여, 한 유적에서 공존 하는 장방형 주거지와 방형 주거지의 관계를 단지 시기적 차이로 해석함에 따라 주거의 변이에 대한 여러 요인―가족의 발달에 따른 주거 규모의 변화, 주거의 사용(신축과 증ㆍ개축)과 폐기 등―의 이 해를 저해하는 문제를 야기하게 되었다. 본고는 이러한 문제의 극복을 위해, 한강 하류역 청동기시대 전기 취락 유적들의 양상을 분석한 기 초자료를 바탕으로 가족 형태와 가구 양상 변화를 연결할 수 있는 고고학적 설명모형을 통해 가구발 달주기에 대한 인식이 한강 하류역 청동기시대 전기 주거 양상의 역동적 측면을 이해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주거지 간 중복양상이나 절대연대가 모호한 상황에서 주거지 평면 형태에 주목하는 기존의 편년관 안에서는 한강 하류역 청동기시대 전기 주거 양상을 역동적으로 설명하기 어렵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결합주거지를 고정된 문화적 실체로 파악하고 주거의 형태 차이를 양식적 차이로 이해하기보다는 가 족의 성장에 따른 주거 규모의 변이라는 기능적 측면을 상정해 보는 것이 합리적일 것으로 보인다.

It has been suggested that the Early Bronze Age rectangular dwellings were also the result of the family composition of society at the time, and that the morphological variation was due to the family developmental cycle. In addition, multiple rectangular(unit) dwellings are connected in parallel, and the estimation that rectangular unit dwellings are residential spaces for nuclear families is also widespread. However, many researchers tend to interpret the relationship between long rectangular dwellings and rectangular dwellings coexisting in one site as a fixed cultural entity by judging that the long to short axes ratio reflects time. This perspective has raised problems that hinder the understanding of various factors on housing variation-changes in housing size due to family development, the use of housing (renewal, expansion, renovation), and disposal. To overcome this problem, this paper examined the possibility that the perception of household development cycles will highlight the dynamic aspects of the Bronze Age housing pattern in the Lower Reaches of Hangang River by comparing it with an archaeological explanatory model that can connect family and household changes. In the end, it is difficult to dynamically explain the early Bronze Age residential pattern of the Lower Reaches of Hangang River in the houses of different floor shapes, which focuses on the floor plan of the residence in a situation where overlapping patterns or absolute solidarity between dwellings are ambiguous. Therefore, it would be reasonable to assume the functional aspect of the change in dwell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the family rather than grasping the difference in the shape of the residential floor shapes as a fixed cultural entity.

목차
요약
Ⅰ. 머리말
Ⅱ. 한강 하류역 청동기시대 전기 주거의 형태 변이에대한 기존 인식
Ⅲ. 한강 하류역 청동기시대 전기 주거 양상
    1. 개괄적 이해
    2. 유적별 분석
Ⅳ. 한강 하류역 청동기시대 전기 주거 변이의 含意
Ⅴ. 맺음말
참고문헌
보고서
저자
  • 강평원(한강문화재연구원, 조사부장) | Kang, Pyungwon (Research Department Manager, Hangang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