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남해안지역의 청동기문화와 정치체 형성과정 KCI 등재

The Formation of Bronze Age Culture and Politics on the Southern Coastal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726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700원
韓國靑銅器學報 (한국청동기학보)
한국청동기학회 (Society for Korean Bronze Culture)
초록

한반도 남해안지역에서 청동기는 청동기시대부터 초기철기-원삼국시대까지 주로 사용되었다. 청 동기시대의 비파형동검문화는 지금까지 27개 유적에서 45점이 확인되었다. 남해안지역 비파형동검은 요서·요동지역과 크기와 형태가 다른데, 납동위원소비 분석 결과를 보아도 대부분 남한3지구산(충 청·전라·경북 북서부) 원료를 사용한 것으로 추정되어서 남한지역에서 남한산 원료를 사용해서 만 든 것으로 생각된다. 초기철기시대 세형동검문화의 청동기들은 남한2지구산(강원도 동남부) 원료를 사용한 것이 많아서 역시 남한지역에서 남한산 원료를 사용해서 만든 것으로 생각된다. 원삼국시대에 는 세형동검문화계 청동기와 함께 중국과 일본열도계 청동기도 확인되는데, 청동기는 계통을 막론하 고 원료가 대부분 중국북부산과 중국남부산으로 추정되어서 낙랑군을 포함한 중국에서 원료와 완성된 제품을 함께 들여 온 것으로 생각된다. 전쟁 인류학과 전쟁 고고학의 연구성과를 토대로 남해안지역에서 정치체의 형성과정을 살펴보면, 비파형동검문화의 무기조합은 원격전용 투사무기(석촉·동촉)+근접전용 단병충격무기(석검·비파형 동검)가 중심을 이루고 있어서 부족사회 단계로 생각된다. 그러나 여수반도 일대에서는 비파형동모가 출토되는 것으로 보아 강제력을 수반한 수장권이 형성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초기철기시대에는 세형 동검문화가 등장하면서 원격전용 투사무기(석촉)+근접전용 단병충격무기(세형동검)+근접전용 장병충 격무기(동모·동과) 조합이 확인되기 시작하므로 이 시기부터 강제력을 수반한 수장권이 형성된 군장 사회로 접어드는 것으로 생각된다. 원삼국시대에는 철제 무기가 사용되면서 원격전용 투사무기(석 촉·철촉)+근접전용 단병충격무기(세형동검·철단검)+근접전용 장병충격무기(동모·동과·철모·철 과) 조합이 정착되고 있어서 『삼국지』에 보이는 국이 형성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In the Southern coastal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bronze ware was mainly used from the Bronze Age to the early Iron Age-Three Kingdoms Period. The Lute-shaped bronze dagger culture of the Bronze Age have been identified 45 objects in 27 sites. According to the lead isotope analysis results of the bronze ware of the Lute-Shaped Bronze Age on southern coast region, it is estimated that most of them used raw materials from the zone 3(Chungcheong·Jeolla·norhtwest Gyeongsangbuk-do) of southern Korean Peninsula. Also, many bronze ware of slender bronze dagger culture during the early Iron Age used raw materials from the zone 2(southeastern Gangwon-do). From this results, it is thought that bronze ware from the Bronze Age-early Iron Age were made using raw materials from South Korea in the South. During the Proto-Three Kingdoms, not only the bronze ware of the Slender bronze dagger culture but also the Chinese and Japanese archipelago bronze ware were confirmed. In either case, most of the bronze raw materials are from China, so it is considered that bronze raw materials and products were imported together from China. The process of forming political establishments in the southern coast can be examined based on the research of war anthropology and war archaeology. Equal tribal societies and military societies with hierarchies are different in terms of weaponry, due to different types and patterns of warfare. Based on this, Lute-shaped bronze age culture in the Bronze Age shows the appearance of a tribal society, bu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 commandership accompanied by coercion was formed in the Yeosu Peninsula. The appearance of Slender bronze dagger culture in early Iron Age, in turn gave rise to a weapon combination consisting of projectile weapons, hilt weapons and pole weapons. This combination appeared throughout the whole region and continued into the Proto-Three Kingdoms. Therefore, it is believed that statelets began to be formed as it entered the military general society from this time.

목차
요약
Ⅰ. 머리말
Ⅱ. 남해안지역 청동기문화 현황
    1. 청동기시대 비파형동검문화의 청동기
    2. 초기철기-원삼국시대의 청동기
Ⅲ. 남해안지역 청동기의 원료산지와 생산지
    1. 비파형동검문화 청동기의 성분조성과 원료산지
    2. 초기철기-원삼국시대 청동기의 원료산지
    3. 남해안지역 청동기의 생산지
Ⅳ. 남해안지역의 정치체 형성과정
    1. 정치체 성장과 무기조합의 관계
    2. 남해안지역의 청동기-원삼국시대 무기조합과 사회정치유형
    3. 남해안지역에서의 정치체 형성과정
Ⅴ. 맺음말
참고문헌
저자
  • 조진선(전남대학교 문화인류고고학과, 교수) | Cho, Jinson (Professor, Chonnam National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