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하부 백악기 진주층에서 산출되는 고열역청(pyrobitumen)의 산 KCI 등재

Occurrence of Pyrobitumen in the Lower Cretaceous Jinju Formation,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730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지구과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한국지구과학회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초록

경상분지 신동층군의 백악기 진주층 일부 사암에서 산출되는 흑색의 불투명 탄화수소인 고열역청(pyrobitumen) 의 산상을 처음으로 보고한다. 고열역청은 녹니석 공극벽 선충진(pore-lining) 교결물을 피복하거나 교결물 끝부분에 스 며들어간 상태로 산출되므로, 녹니석 교결물 침전 이후에 생성된 것이며, 이는 과거 원유가 존재했음을 지시한다. 액상 의 탄화수소는 진주층이 상당한 깊이로 매몰되는 동안 유입되었으며, 진주층 사암은 저류암의 역할을 했던 것으로 보인 다. 진주층에 고열역청이 존재하는 것은 진주층이 액상 탄화수소의 이동 이후 심부 매몰과정을 겪었음을 지시한다. 그 후 매몰 온도가 더 증가하면서 탄화수소의 열분해가 일어나고 고열역청이 저류암에 잔류물로 남게 되었다.

Occurrence of black opaque hydrocarbon (pyrobitumen) in some Cretaceous Jinju sandstones of the Sindong Group, Gyeongsang Basin in Korea is first reported in this study. The pyrobitumen is developed on chlorite pore-lining cement, or impregnated into the outer zone of chlorite cement. Therefore, it seems to have been formed after the precipitation of chlorite cement, indicating the former presence of crude oil. The liquid hydrocarbons migrated into sandstones during moderate burial and these sandstones seem to have acted as a liquid hydrocarbon reservoir. The presence of pyrobitumen in the Jinju Formation indicates that this formation underwent deep burial after liquid hydrocarbon migration. As reservoir temperatures increased further, hydrocarbons were cracked and a solid pyrobitumen residue remained in the reservoir.

목차
Abstract
요 약
서 론
연구 지역
사암의 조성과 속성작용
고열역청의 산상 및 탄화수소의생성과 이동
결 론
사 사
References
저자
  • 최태진(한국교원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Taejin Choi (Department of Earth Science Educ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eongju 28173, Korea 2Department of Geological Sciences, Pusan National)
  • 임현수(부산대학교 지질환경과학과) | Hyoun Soo Lim (Department of Geological Sciences,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46241, Korea) Corresponding author
  • 이재일(극지연구소 빙하환경연구본부) | Jae Il Lee (Division of Glacial Environment Research, Korea Polar Research Institue, Incheon 21990, Korea)
  • 이용일(서울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 Yong Il Lee (School of Earth and Environmental Science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08826,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