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과량의 수화상태에서 음이온 전도성 이오노머의 분자동역학 전산모사 연구 KCI 등재

Molecular Dynamics Study of Anion Conducting Ionomer under Excessive Water Condi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857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멤브레인 (Membrane Journal)
한국막학회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초록

지속적인 화석연료의 과도한 소비는 지구온난화와 기후환경 위기를 초래하고 있다. 이에 따라 화석연료의 대체 에너지 중 수소에너지가 주목받고 있는데, 수소에너지는 공해물질의 배출이 없고 자원적인 제약이 없다는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 물의 전기분해를 이용하여 수소를 생산하는 수전해 시스템 및 수소에너지를 연료로 사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연료전 지 시스템과 관련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전해 시스템과 연료전지의 핵심 소재 중 하나인 음이온 전도성 이오노머 소재를 대상으로 과량의 수화 상태를 반영하여 3D 이오노머 모델을 제작하였다. 최종적으로 과량의 수화상 태에서 이오노머의 구조적인 안정성과 성능 분석을 통해, 수전해 시스템과 연료전지의 핵심 소재인 음이온 전도성 이오노머 설계에 있어서 성능향상 인자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The continuous excessive consumption of fossil fuels is causing global warming, climate, and environmental crisis. Accordingly, hydrogen energy attracts attention among alternative energies of fossil fuels, because it has the advantage of not emitting pollutants and not having resource restrictions. Therefore, various studies are being conducted on a water electrolysis system for producing hydrogen and a fuel cell system for producing electricity by using hydrogen energy as a fuel. In this study, 3D ionomer models were produced by reflecting the excessive water condition of an anion-conductive ionomer material, which is one of the core materials of water electrolysis systems and fuel cells. Finally, by analyzing the structural stability and performance of the ionomer under an excessively hydrated condition, we suggested a performance improvement factor in the design of an anion conductive ionomer, a key material for water electrolysis systems and fuel cells.

목차
요 약
Abstract
1. 서 론
2. 전산모사
    2.1. 음이온 전도성 이오노머 3D 모델 제작
    2.2. Fractional free volume (FFV)
3. 결과 및 고찰
    3.1. 3D 음이온 전도성 이오노머 모델 구조 안정성
    3.2. 이오노머 모델 내부의 OH- 및 기체 분자 분포
    3.3. 이온전도도 및 기체확산도
4. 결 론
감 사
Reference
저자
  • 강호성(경상국립대학교 미래융복합기술연구소 에) | Hoseong Kang (Department of Energy Engineering, Future Convergence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이소영(한국과학기술연구원 연료전지센터) | So Young Lee (Fuel Cell Research Center,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 김형준(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 수소에너지 연구소) | Hyoung-Juhn Kim (Hydrogen Energy Technology Laboratory, Korea Institute of Energy Technology)
  • 이창현(단국대학교 에너지공학과) | Chang Hyun Lee (Energy Engineering Department, College of Engineering, Dankook University)
  • 박치훈(경상국립대학교 미래융복합기술연구소 에너지공학과) | Chi Hoon Park (Department of Energy Engineering, Future Convergence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