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상원사 목조문수보살좌상의 제작자와 도상적 연원 KCI 등재

The Maker and Iconographic Origin of the Wooden Seated Statue of the Maňjuśri Bodhisattva in Sangwonsa Templ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876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9,800원
불교문예연구 (Studies on Buddhist art and culture)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Studies on Buddhist art and culture)
초록

오대산(五臺山)은 신라시대 자장스님에 의해 중국 오대산으로터 문수신앙 이 도입되어 지금까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문수신앙의 성지가 되어 왔다. 그 중심에 상원사가 있다. 상원사에는 1466년 조선왕실이 발원한 동자 문수 보살상과 1661년에 의천스님이 발원, 조성한 문수보살상이 나란히 안치되어 있다. 1661년 조성된 문수보살상은 진여원의 세 번째 중창된 만들어진 상원 사의 본존불이다. 이 불상이 조성되기 전 이미 상원사에는 동자 문수보살상 과 노(老) 문수보살이 전하고 있었다. 동자 문수보살은 왕실에서 조성한 것이 기 때문에 지금과 달리 특별히 마련된 원당에 봉안되어 있었을 것이고 노 문수보살상은 상원사의 원래 본존으로 봉안되어 있었던 것으로 파악된다. 이 문수보살상이 1599년에서 1661년 사이 인근 보현사로 이안되면서, 새로운 문수보살상이 의천스님에 의해 계획된 것으로 보이며, 지금의 문수보살상이 바로 그 문수보살로 추정된다. 보살상의 제작에는 임진왜란 이후 팔도도총섭 체제로 개편되는 불교의 시스템과 관련이 깊다. 팔도도총섭은 전란으로 피해 를 입은 사찰을 복구하기 위해 체계적으로 승려장인들을 육성하였고, 이 보 살상을 제작한 승려 역시 도총섭 체제하에서 육성된 승려장인들로 구성된 것으로 보인다. 1661년에 제작된 문수보살상은 如意를 지물로 취하고 있다. 조선시대 이 전 如意는 주로 보현보살의 지물로 등장하지만, 차츰 문수보살상의 지물로도 사용되다 17세기 이후에는 완전히 문수보살의 지물로 채택되고 있다. 따라 서 상원사 문수보살상의 여의는 조선 후기 조각승들이 인식했던 문수보살의 도상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이 보살상을 제작한 사람은 신겸과 회감인데, 신겸은 이 시기 대표적인 불화승이고 회감은 조각승이다. 불화승과 조각승의 공조로 불사가 진행되고 있어 당시 불사의 특징을 이해하 는 데 유익한 정보를 담고 있다.

Maňjuśri faith was introduced from Chinese Odaesan Mountain by the Silla Dynasty Buddhist monk Jajang, and had been the center of sacred place for the representative Maňjuśri faith in Korea. In Sangwonsa Temple, the statue of Young Maňjuśri Bodhisattva, commissioned by the royal family of the Joseon Dynasty in 1466, and the statue of the Maňjuśri Bodhisattva, which was commissioned by the Buddhist monk Uicheon in 1661, are enshrined side by side. The statue of the Maňjuśri Bodhisattva, created in 1661, is the main revered Buddha of Sangwonsa Buddhist Temple, which was created in the third recitation of Jin Yeo-won. Before this Buddha statue was made, Sangwonsa Temple had already had a statue of a young and old Maňjuśri Bodhisattva. Since young Maňjuśri Bodhisattva was created by the royal family, it must have been enshrined in a specially prepared building in the temple, and it is believed that the old Maňjuśri Bodhisattva was originally enshrined as the original head of Sangwonsa Buddhist Temple. As this statue of Maňjuśri Bodhisattva was transfered to the nearby Bohyeonsa Buddhist Temple between 1599 and 1661, it seems that a new Maňjuśri Bodhisattva was commissioned by Buddhist Monk Uicheon, and the present statue of Maňjuśri Bodhisattva is presumed to be the newly commissioned statue. The production of the Bodhisattva statue is closely related to the Buddhist system that was reorganized into the Chief Buddhist Monk of Eight Provinces system after the Imjin War. The Paldodochongseop, Chief Buddhist Monk of Eight Provinces, systematically nurtured monk craftsmen to restore the Buddhist temples damaged by the Imjin War, and the monks who made this bodhisattva also seem to consist of monks nurtured under the Chief Buddhist Monk of Eight Provinces. The statue of the Maňjuśri Bodhisattva, created in 1661, holds ruyi(如意) as the main item. Before the Joseon Dynasty, ruyi mainly appeared as a feature of Samantabhadra, but gradually it was also used as a feature of the Maňjuśri Bodhisattva, and after the 17th century it has been fully adopted as a feature of Maňjuśri Bodhisattva. Therefore, the female clothing of the statue of the Maňjuśri Bodhisattva at Sangwonsa Temple has an important meaning in understanding the iconography of the Maňjuśri Bodhisattva recognized by the sculptors of the late Joseon Dynasty. The people who made this Bodhisattva statue are Buddhist Shin-gyeom and Buddhist Hoe-gam. Buddhist Shin-gyeom was the representative of Buddhism paintings of this period, and Hoe-gam was was the representative of Buddhism sculptures of this period. It contains useful information for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Buddhism at the time, as Buddhism is being conducted in cooperation between Painting and sculpting Buddhist monks.

목차
국문초록
I. 머리말
Ⅱ. 팔도도총섭으로의 체제로의 僧政體制 개편과조각승들의 대활약
Ⅲ. 상원사 목조문수보살상의 발원자와 제작자 그리고작품
    1. 환적 의천(1603~1690)의 신(新) 문수보살좌상의 조성 발원
    2. 상원사 문수보살좌상의 제작에 참여한 사람들
Ⅲ. 상원사 목조문수보살상과 조각승 회감의 작품
Ⅳ. 문수보살의 도상 전통과 상원사 문수보살의 도상적 전거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손영문(문화재청 문화재전문위원) | Son, Young-Moom (Specialist,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