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상황이야기 중재가 자폐성 장애 유아의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The Effect of Social Story Intervention on Social Behavior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908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7,700원
미래교육연구 (The Journal of Future Education)
한국미래교육학회 (The Korea Association of Future Edcation)
초록

본 연구는 상황이야기 중재가 자폐성 장애 유아의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실시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자폐성 장애로 진단받은 만 5세의 남아 2명, 만 4세의 남아 1명으로 총 3명의 자 폐성 장애 유아로 단일대상연구방법 중 대상자간 중다간헐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였다. 중재 장소는 유아가 다니는 통합 어린이집 내 치료실이었으며 참여한 유아의 능력과 장애 특성을 고려하여 유아별 상황이야기 를 제작하여 중재하였다. 전체 연구는 기초선, 중재, 유지의 세 단계로 실시되었다. 연구 결과, 기초선에서 는 거의 나타나지 않던 사회적 행동이 상황이야기 중재를 실시하며 점차 변화되어 긍정적 증가가 있었으 며 그 변화는 중재가 종료된 이후에도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상황이야기 중재가 사회 적으로 행동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자폐성 장애 유아의 사회적 행동 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효과적 인 중재임을 시사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ocial story intervention on the social behavior of children with autism.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hree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disorder, two boys aged five and one boy aged four, who were diagnosed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For the study design, multiple probe baseline design across subjets was used. The place of intervention was the treatment roomin the integrated day care center where the children attended, and the social story for each child was produced and mediated considering the ability and disability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ting children. The entire study was conducted in three phases: baseline, intervention, and maintenance.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social behaviors, which were rarely seen at the baseline, were gradually changed and positively increased as the social story intervention was conducted, and the changes were maintained even after the intervention was terminat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social story intervention is an effective intervention that positively affects the social behavior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who have difficulty in social behavior.

목차
요 약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1. 참여 유아
    2. 연구 설계
    3. 중재 도구: 상황 이야기
    4. 연구 절차
    5. 자료 수집 및 분석
    7. 관찰자간 신뢰도
    8. 중재충실도
    9. 사회적 타당도
Ⅲ. 연구 결과
    1. 사회적 행동의 변화
    2. 사회적 행동 변화의 유지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오예지(단국대학교 대학원 심리치료학과 석사과정 수료) | Oh Ye Ji
  • 전상신(단국대학교 대학원 심리치료학과 조교수) | Jeon Sang Shin